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연계 상위권은 영어·수학 B형과학동아 l2010년 10호
- 2회 실시된다. 1995학년도에 수능시험을 2회 치른 적이 있었으나, 난이도 조절에 실패해 이후 1회 시험으로 통합됐다가 약 20년만에 다시 2회로 늘어난 것. 수험생은 응시원서를 접수하면서 1회 또는 2회 응시 여부를 선택한다. 수능시험에 2회 모두 응시할 경우 과목별로 좋은 점수를 성적으로 제출하면 ... ...
-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과학동아 l2010년 10호
- 940년대 '애니악'이라는 컴퓨터가 처음 등장한 이후 지금까지 세계를 이끌어가는 가장 큰 힘은 정보기술(IT)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 등 뉴욕주식시장의 시가 총액 윗자리는 대부분 IT업체들이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등이 대표하는 한국시장 역시 다르지 않다.IT는 다른 ... ...
- 인생의 갈림길, 선택과 책임은 내 몫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않으려면 지금부터 열심히 하면 된단다.” 상담 선생님의 조언 1. 내년 1월 검정고시 이후 대입 일정을 정리해서 중장기적인 시간 계획표를 짠다. 2. 수학 30%, 물리 30%, 영어 30%, 국어 10%의 비중으로 과목별 학습 계획표를 짠다. 운동과 여가를 비롯한 기본 생활에 대한 시간 계획표를 짜서 그에 맞춰 ... ...
- [생물] 생물과 환경의 관계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클리닉] 일반적으로 피드백이란 시스템에서 산출된 정보가 다시 시스템으로 입력돼 이후의 산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합니다. 피드백돼 입력된 정보가 작용기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면 이를 음성 피드백이라고 합니다. 환경요소가 어떻게 개체수를 억제할 수 있는지 생각해봅시다. ... ...
- 해양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바다로 돌려보낸 사실도….은북이는 2년 전인 2008년 6월 거제도에서 발견됐어. 이후 국립수산과학원과 부산아쿠아리움의 보살핌 덕분에 건강을 되찾을 수 있었단다.국립수산과학원은 은북이를 바다로 돌려 보내며 등에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추적 장치를 달았어. 그래서 사람들은 이 장치가 내는 ...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새학년 초에 반 학생 앞에서 본보기로 떠든 학생을 체벌하는 교사의 예를 들어 보자. 이후 그 교사의 수업 시간에는 학생들이 떠들지 않는다. 이것을 체벌의 효과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실제로는 강화에 해당한다. 학생들은 본보기 체벌을 통해 떠들면 체벌을 당한다는 규칙을 익혔다. 따라서 떠들지 ... ...
- 달라이 라마, 포도밭을 가꾸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성직자 아베 피에르(Abbe Pierre)의 소유였는데, 그가 2000년 방문한 달라이 라마에게 선물한 이후 ‘달라이 라마의 포도밭’이 됐다. 이 포도밭에서 나온 와인 1병은 다른 와인과 섞어 1000병이 된다. 이를 판 수익금은 전부 자선 사업에 사용된다.기차로 스위스의 겉을 볼 수 있다면 두 발로 걷는 하이킹은 ... ...
- 최초의 과학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다윈 탄생 200주년을 기념해 2부작 다큐멘터리 ‘신과 다윈의 시대’를 방송했다. 방송 이후 많은 논란이 있었고 어떤 것이 진실인가에 대한 찬반이 엇갈렸다. 이 다큐멘터리를 기획하기 위해 제작팀은 1년 이상에 걸쳐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세계적인 석학들을 취재했다. 독자들은 리처드 도킨스와 ...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전달된다. 타자는 투수가 공을 던지기 전 어깨 넓이 정도로 발을 벌리고 있다. 이후 다리를 들어 뒤쪽으로 무게중심을 옮겼다가 발을 내딛는 전진운동을 한다. 내딛는 발이 땅에 닫는 순간 만들어진 전진력이 이미 시작된 배트의 회전운동에 전해져 날아오는 공을 향한다.밸런스 없이는 홈런도 ...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할 때 1975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데이비드 발티모어 교수의 지도를 받았다. 이후 같은 대학의로버트 호비츠 교수 실험실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었는데 호비츠 교수는 2002년 세포의 자살프로그램을 규명한 공로로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호비츠 교수팀에 있을 때 앰브로스 박사는 ... ...
이전4104114124134144154164174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