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소프트웨어 시장을 장악하다수학동아 l2010년 08호
- 호환이 잘 안 돼 오류가 많았거든요. 그래서 일반인에게 공개하기로 했죠.”알집 이후 알송, 알약 등의 알 시리즈와 인터넷 디스크를 제작해 선보였어. 2005년에는 카발 온라인을 공개해 게임 사업에도 뛰어드셨지. 미국과 일본에 수출하는 등 게임 사업은 탄탄대로를 걷고 있어.“프로그램 개발이나 ... ...
- 집적시스템 설계공학과학동아 l2010년 08호
- 거의 모든 종류의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를 만들 때 쓴다. 첫 IC 소자의 발명 이후, 반세기만에 전자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기까지 집적시스템 설계공학의 힘이 컸다. 더 작고 더 빠르고 더 효율적인 IC를 만드는 것이 이 분야의 목표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모든 전자제품에 사용된다. 컴퓨터 ... ...
- 미래의 연구자를 위한 최적의 환경과학동아 l2010년 08호
- 1989년 노벨상 수상자 10여 명이포스텍을 방문한 기념으로 나무를 심으면서 만들어졌다. 이후 노벨상 수상자가 방문할 때마다 기념 식수를 하면서 한 그루씩 나무가 늘어났다.연구에 지친 학생들은 심신을 달래기 위해 지곡연못을 찾는다. 동네 주민도 많이 찾는 지곡연못은 아름다운 경치로 포스텍의 ...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쥐보다 더 먹고 체중도 더 많이 늘어났다.1994년 비만 유전자의 발견과 렙틴의 규명 이후 비만의 생리학에 대한 연구 결과가 엄청나게 쌓여왔지만 비만을 치료하는 ‘묘약’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아마도 비만에 대한 최선의 해결책은 ‘덜 먹고 더 활동하라’는 상식이 아닐까. 물론 여전히 많은 ... ...
- GIST의 세계적인 연구 환경 속으로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연구실의 석희용 교수를 만나 GIST 진학과 전공에 대한 방향을 결정할 수 있었다. 그 이후 지도교수와 대학원생으로서의 인연이 새롭게 시작됐다.처음 대학원 생활을 시작하며 단순히 공부만 하면 됐던 학부시절과는 다른 세상이 눈앞에 펼쳐졌다. 수업받고 실험하는 일 외에도, 논문을 읽고 세미나에 ... ...
- 태풍의 과거, 그리고 현재수학동아 l2010년 08호
- 태풍 중 무려 6개가 2000년대에 발생한 태풍이었다. 따라서 자료를 통해 강한 태풍이 2000년 이후에 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자료 정리와 분석을 통해 우리는 태풍의 발생 흐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한 태풍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도 알았다. 실제로 기상연구원들은 우리나라에 영향을 ... ...
- 태풍 이름을 미리 맞혀 보자~!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열리는 회의에서 막대한 피해를 준 태풍 이름을 더 이상 쓰지 않기로 결정한다. 2000년 이후 은퇴한 태풍 이름은 16개다. 2002년 우리나라에 막대한 피해를 준 태풍 루사는 누리로 바꿨고, 2003년 태풍 매미는 무지개로 이름이 바꿨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태풍을 알고, 수학을 알면 백전불태! ... ...
- 기초과학 위에 세운 첨단 공학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의료진단과 진료를 위한 시스템을 연구하는 첨단 학문이다. IT 산업 이후 차세대 국가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의료시스템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주요 연구 주제는 의료영상, 마이크로 의료 소자, 로봇 수술, 신경공학, 나노의약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 ...
- 상위권대 논술 공략은 필수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전년도 622명에서 올해 1150명으로 대폭 증가했다. ‘수능변별력 약화’와 ‘2012학년도 이후 대학별고사 강화’를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우선선발 비율도 지난해 60% 선발에서 70%로 확대하고, 우선선발 조건을 수리와 과학탐구 등급 합이 3등급 이내인 학생까지 확대했다. 수능우선선발 정원을 다 ... ...
- 앵무새의 정리수학동아 l2010년 08호
- 평균에도 종류가 있다고?이전에는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이 두가지 평균만 있었다. 이후 조화평균이라는 것이 만들어짐으로써 모두 세가지가 존재하게 됐다.…중략…두 수, a와 c의 기하평균은 곱셈과 나눗셈으로 구한다. 정의하면 '첫 번째 수 대 두번재 수는 두번째 수 대 세번재수와 같다'라고 ... ...
이전4134144154164174184194204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