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켓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수학동아 l2010년 07호
- 1992년 최초로 우리별1호를 궤도에 올리면서 인공위성 보유국가가 됐다. 그 이후 무궁화, 아리랑, 과학기술위성 등이 여러 차례 발사되면서 우리나라의 총 인공위성 수는 10기로 늘어났다.그러나 10기의 인공위성 모두 외국의 로켓을 빌려 발사했을 뿐 아직 우리나라가 직접 만든 로켓으로 인공위성을 ...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지도를 만든다면, 우리 은하의 탄생과 진화에 대한 의문이 상당수 풀릴 것이다. 또2018년 이후 칠레 안데스산맥에 구경 25m의 대형망원경(KGMT)을 보유하게 될 한국 천문학자들의 활약도 기대해볼 만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작은 ... ...
- 불멸의 책 남긴 역사 속 과학자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쓴 그의 글은 읽는 사람들로부터 엄청난 호응을 얻는다. 카슨의 ‘침묵의 봄’은 그 이후로 환경 운동이 시작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962년 카슨이 ‘침묵의 봄’을 처음 발간했을 때 미국 농무부를 비롯해 화학회사나 농장주인처럼 DDT로 큰 이득을 본 사람들은 크게 반발했다. 이들은 방송과 ...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0년 07호
- 김소월 시인의 시 ‘엄마야 누나야’ 전문이다. 깨끗한 금빛으로 빛나는 너른 모래톱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소월의 고향은 평북 구성. 어 ... 핵심이다.이는 2007년 2월 ‘미국수자원학회지’가 특집으로 다룬 주제이기도 한데, 이후 생태학계에서 강을 살리는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 ...
- 2020년 글로벌프론티어연구, 인간과 기술의 경계가 무너진다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생활 주변의 모든 물체가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다. 원시 인간이 휴먼 1.0 시대에 산업혁명 이후 인류가 휴먼 2.0시대에 살았다면 사람과 기계의 경계가 사라진 휴먼 3.0의 시대가 열리는 셈이다. 사람과 기계가 서로 반응하며 도와주는 ‘융합기계전자시스템’도 출현한다. 생명과학의 현상을 이용해 ... ...
- part3, 즐겁게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현재 우리가 먹는 작물의 기본 틀이 바로 신석기인들의 작품인 셈이다. 신석기시대 이후 인류는 수천 가지의 육종방법을 개발해왔다. 순전히 농사 경험만으로 말이다.물론 농업 생산성도 인구 증가에 비해 식량이 턱없이 부족할 거라는 영국 경제학자 토머스 맬서스의 예측을 비웃을 정도로 ... ...
- 생물자원 전쟁, 최후의 승자는?과학동아 l2010년 07호
- B국의 생물자원을 상품화해 이익을 취한 경우를 보자. 협약 체결 이전과 달리 협약 체결 이후에는 상품화 단계부터 어떠한 이익을 챙겼는지 명시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선진국의 입장에서는 앞으로 생물자원 활용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내놓기에 앞서, 생물자원을 ... ...
- 바다 밑 생명체 대왕 오징어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있다.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는 대왕 오징어가 과연 우리나라에도 있을까. 2006년 이후에는 우리나라의 동해안에서도 대왕 오징어의 사체가 종종 발견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포항에서 몸통만 1.8m, 전체 길이 7.7m의 대왕 오징어가 파도에 떠밀려 와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수심 300~60 ... ...
- 나에게 유리한 수시 전형을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06호
- 통해 선발하고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 과학영재전형의 경우 국내 고교 2010년 2월 이후 졸업(예정)자로서 수학·과학 학업성적이 우수하거나 모집단위 관련 분야에 재능과 열정을 보인 자 중에서 1단계 서류 평가로 3~5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 서류(50)와 심층 면접(50)으로 선발한다. 수능 ...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5386개의 DNA염기로 이뤄진 파이X 174 바이러스의 게놈을 생어기법으로 완전 해독했다. 이후 생어기법은 현대 생물학의 혁명을 이끄는 게놈분석의 기초가 됐다. 1990년 시작돼 2003년 완성된 인간게놈프로젝트도 생어기법을 사용했다.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자동화, 소형화를 통해 염기해독 비용을 ... ...
이전4164174184194204214224234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