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수학으로 그린 꿈의 도시
수학동아
l
2017년 08호
4가지 유형과 대표적인 사례는 오른쪽과 같습니다. 서울은 도쿄와 함께 2번에 속합니다.
미국
과 유럽의 여러 도시는 1번 또는 4번 모양으로 생겼고요.2번과 4번처럼 작은 블록으로 이뤄진 도시는 보행자가 좋아합니다. 모퉁이마다 다양한 골목이 나타나 걷는 재미가 있거든요. 반면 자동차 운전자는 ...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
수학동아
l
2017년 08호
알게 된 것이지요.지난 7월 13일에는 박테리아의 게놈에 영상을 넣고, 재생한 조지 처치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학과 교수의 연구가 네이처에 실리기도 했었죠. 이 또한 정보를 읽고 쓰는 것을 수학적 이론에 기반한 기술로 구현한 것입니다. 게놈 자체가 일종의 컴퓨터이고, 메모리이기도 하기 ... ...
[쇼킹 사이언스] 호수 한가운데 신비한 구멍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콤프리다’ 댐으로 흘러 들어간답니다.이런 모양의 배수구는 다른 지역에도 있어요.
미국
몬타나주의 헝그리 홀스댐이나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의 지히댐 등에도 코방 도 콘쇼스와 비슷한 배수구가 있지요. 이런 모양의 배수구를 ‘벨 마우스 배수구’ 혹은 ’나팔꽃 배수구(글로리 홀)’라고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마트폰으로 만드는 소프트웨어! 액션코딩 아이팝콘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만든 소프트웨어를 함께 만나 볼까요?많은 사람들이 코딩을 어려워 해요. 이에 2005년에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미디어 연구소는 사람들이 쉽고 재미있게 코딩을 배울 수 있는 ‘스크래치’를 개발했어요. 프로그램 언어를 배워서 일일이 손으로 입력해야 하는 코드를 보기 쉬운 색깔 블록으로 ... ...
Part 5. [거대로봇]은 어디에 쓰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사람의 조종으로 거대로봇끼리 결투를 하는 배틀이 열릴 수도 있지요.실제로
미국
의 메가봇은 지난해 일본의 거대로봇 쿠라타스에게 ‘누가 더 센지 한판 대결을 겨루자’며도전장을 내놓은 상태예요. 대결을 벌이기로 양쪽 다 수락한 상태지만, 실제 배틀 날짜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어요. 현재는 ... ...
[과학뉴스] 세포가 물질 이동시키는 새로운 경로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문제로 발생하는 질병을 치료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 결과는 ‘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24일자에 실렸다. doi:10.1073/pnas.170103011 ... ...
[과학뉴스] 미어캣의 사향 냄새는 박테리아 작품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냄새가 일종의 명함인 셈이다.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사라 레클레어 연구원과
미국
듀크대 진화인류학과 크리스틴 드레아 교수팀은 미어캣이 독특한 냄새를 풍기는 이유가 유전적인 요인이 아닌, 박테리아 때문이라는 사실을 ‘사이언티픽 리포트’ 6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 ...
[과학뉴스] 양의 눈을 바라봐 난 괴로워지고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질병이 생긴 양을 빨리 알아내 조기에 치료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제 12회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자동얼굴및행동인식 콘퍼런스’에서 6월 1일 발표됐다 ... ...
[과학뉴스] 하늘 보며 쓰나미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로마 사피엔자대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공동연구팀이 대기의 전리층을 분석해서 쓰나미를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했다.전리층은 지구 대기에서 약 80~1000km에 이르는 층을 말하는데, 태양복사와 우주선(Cosmic Ray)에 의해 대기 분자들이 이온화돼 있다. 지진에 의해 쓰나미가 발생하면 이 지역의 상층부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걸어주면 전자가 힘을 받아 운동방향이 휘어지면서 전기장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미국
의 물리학자 에드윈 허버트 홀이 1897년 발견했다.홀 효과 추력기는 이 현상을 이용해 플라스마 상태의 전자와 양이온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추진장치다. 양이온이 배출 되면서 생기는 작용반작용의 원리로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