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삼국시대 천체관측기록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기록과 계산이 꼭 들어맞으면 숨은 보물을 되찾은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컴퓨터를 써
본
사람이면 천체 위치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당시의 상황을 컴퓨터 화면을 통해 그대로 보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한 걸음 나아가 다른 자연현상에 관한 기록도 관심을 기울여 볼 수 있다. 우리의 ... ...
인터네트로 떠나는 우주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통해 도입된 것이다. 물론 발빠른 사용자들 중에는 이미 그 전부터 사진을 받아
본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인터네트에서는 이 때 슈메이커-레비의 목성충돌사건 전용 웹 페이지까지 있었다. 지금도 그 주소가 인터네트 관련 책들에는 소개가 되고 있지만, 지금은 유행이 지나서 그곳에 접속하면 다른 ... ...
기계도 피로를 느낀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균열이 발생하고 이것이 점점 커져 파손에까지 이르게 된 것으로 규명됐다.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재료의 파손은 부분적이라 할지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엄청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미국의 1982년 통계에 따르면, 재료의 파손에 따른 비용은 GNP의 약 4%에 해당되는 1천1백9 ... ...
1. 생물종, 30년내 4분의 1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UNEP)이 제의한 '전지구적인 생물다양성 보전전략'(Global Bio-diversity Strategy)은 세가지 기
본
목적을 제시하고 있다. 즉 생물다양성을 절약·보호하고 연구하며 지속성있게 활용(Save, Study, and Use Sustainably and Equitably)하는 것이다. 이 같은 노력이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따라 지구는 ...
2. 인간 흉내일 뿐 기계 한계점 극복 불가능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펼쳐
본
다면 어떻게 될까? 의문은 꼬리를 물게 된다.물론 이들의 주장이 강인공지능을 근
본
적으로 반박할 수 있는 근거는 희박하다. 어쩌면 영국의 수리물리학자 펜로즈(Penrose)가 '황제의 새마음'(Emperor's New Mind)이라는 책에서 주장한대로 현재의 물리학적 지식만 가지고는 마음이라는 현상을 ... ...
멀티미디어 시대의 주역 TV인가 PC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PC모니터의 한계는 액정기술이 해답을 제시해줄 것이다. 일
본
에서 최근 선보인 55인치 대형 액정화면은 앞으로 TV나 PC의 모니터가 궁극적으로 가야 할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 화면 크기를 확대할수록 모니터의 길이가 뒤로 길쭉해지는 현상을 막고 좁은 공간을 ... ...
우주론이 흔들리고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그리하면 앞의 반론을 극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프리막은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최근 일
본
의 뉴트리노(중성미자) 망원경은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그래서 잃어버린 질량의 어느 정도는 설명해줄 수 있다는 '훌륭한 단서들'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오메가=1'을 만들기 위한 노력슈퍼컴퓨터에 의한 ... ...
1. 초보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그대로
본
딴 것이다. 그래서 전혀 생소하지도 어렵지도 않으며, 이것이야말로 구이의
본
질적인 강점이다.모든 명령어들을 일일이 암기하고 있어야만하는 문자 지향의 컴퓨터 환경(도스가 그렇다)과 비교할 때 구이는 인간의 다섯가지 감각 중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시각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 ...
남자는 뇌가 크고 여자는 뉴런이 많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본
세상이 어떤 모습인지 모르는데도. 우리가 아는 것은 그런 렌즈를 통해 '우리가
본
것 뿐'이다."몇몇 학자들은 그러나 과학이 최소한 남자와 여자의 지각적 세계에 대한 오래된 정신-신체 문제의 해결에 이르는 길을 제시한다고 말한다.미국 국립 아동보건 및 인간발달협회의 인간학습 및 행동분과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는데, 그 소식이 신문에 보도되었다.마침 이 기사를
본
안나 마이어 - 슈미트(이때 안나는 마이어와 결혼한 상태였다)가 축하 카드를 보내자 아인슈타인은 그들이 함께 했던 "사랑스런 날들을 안나보다 더 아름답게 기억한다"면서 연구소로 꼭 와 달라고 했다. 밀레바가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