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두뇌발달 따라 교육법 달라야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많다. 그러나 제대로 된 시기에 하면 언어기능의 뇌가 집중적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조금
만 자극을 주어도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어 한다. 이 시기 언어 경험이 평생 국어실력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영어교육 역시 유치원에 들어가기 전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뇌 발달에 맞춰보면 교육적인 ... ...
암울한 미래 디스토피아의 자화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인간에게 나쁘다는 이유로 금지됐을 것이다. 이렇게 재미없는 세상이 우리의 미래라면
조금
은 폭력적이고 불안해도 현재가 더욱 살기 좋은게 아닐까.통제 못지않게 심각한 것은 개인에 대한 ‘감시’다. 영화 ‘에너미 어브 더 스테이트’에서 국가는 인공위성과 도청을 이용해 개인을 감시한다. ... ...
박테리아가 말하는 익사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여검시관 히카루는 부검하기 전에 항상 합장하고 “아프겠지만
조금
만 참아주세요”라고 기도한다. 부검을 하는 모든 검시관은 히카루와 같은 마음일 것이다. 부검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혐오감이 사라졌으면 하는 바람이 법의학자뿐만 아니라 모든 의사의 마음이리라 ... ...
물리학의 눈으로 생명을 바라보는 과학자 장회익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것을 어깨 너머로 살펴보곤 했다. 이후 그는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로 부임하고 나서
조금
씩 생명에 대한 공부를 해왔다.“교수님은 물리학을 기반으로 ‘온생명’ 이론을 만들었다고 하셨는데요. 어떻게 생명이론을 물리학으로 펼칠 수 있습니까?”“1988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열린 생명을 주제로 한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하지만 최근에는DNA 구조 발견이 생물학의 파편화를 가져왔다고 주장하는 목소리도
조금
씩 나오고 있다. 생물학 분야를 너무 세분화·정밀화시켜, 같은 주제를 연구하는 과학자 사이에도 대화가 통하지 않는다는 비판의 목소리다. 결국 이런 경향은 생물학을 생명현상의 이해라는 원래 목적에서 ... ...
마이너스 시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보인다. 근시는 초점이 망막 앞에 맺히므로 오목렌즈, 즉 마이너스 렌즈를 사용해 초점을
조금
뒤로 밀어 망막에 맺히도록 교정하게 된다. 원시는 초점이 망막의 뒤에 맺히므로 볼록렌즈, 즉 플러스 렌즈로 초점을 잡아당겨서 망막에 맺힐 수 있도록 교정한다. 한국인을 비롯한 동양인의 경우 ... ...
패스트푸드점 단골 X 신드롬 주의해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등장하고 있는 신드롬들은 일일이 나열하기 불가능할 정도로 다양하다. 이런 신드롬들은
조금
만 주의를 기울이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아무리 바쁜 현대인이라도 신드롬에 대해 관심을 지속적으로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 ...
봄 길목에 떠있는 여물통 프레세페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있다(보통 때 서쪽에서 동쪽으로 움직이는 경우 순행이라고 한다).베스타는 매일
조금
씩 그 위치를 바꾼다. 따라서 처녀자리에서 날마다 위치를 옮긴 별을 찾아보거나 별자리 지도인 성도에 표시돼 있지 않은 별을 찾음으로써 소행성 베스타를 확인할 수 있다 ... ...
장거리 여행객 위협하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끊임없이 연상해 낸다 오염에 관한 강박사고를 하는 경우는 끊임없이 손을 씻고
조금
이라도 더러운 것은 피하려고 한다 또 모든 것을 양쪽 대칭으로 맞추려고 하는 경우도 있다 책꽂이의 책도 대칭으로 꽂혀있어야 하고, 식탁의 위치, 사람의 위치, 수저의 위치 등이 모두 대칭이어야 한다고 느끼고 ... ...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청어의 뼈를 세다물고기는 같은 종이라도 지역에 따라
조금
씩 형질의 차이를 보이는데, 학자들은 종의 하위단계인 이런 개체군을‘계군’(stock)이라 부른다. 독일의 하인케는 물고기가 갖는 여러 형질 중에서 등뼈의 수로 계군을 나누는 방법을 처음 시도했다. 그는 1875년에서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