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펭귄 수컷의 뱃속은 아기 음식창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채 알을 따뜻하게 보호하는 임무에만 집중한다. 이렇게 알을 품는 기간 동안, 추위를
조금
이라도 덜 느끼기 위해 무리를 지어 서로 살을 맞대고 있기도 한다. 알이 부화할 무렵이 되면 바다로 나갔던 암컷이 먹이를 갖고 집으로 돌아온다. 그러면 다시 교대로 암컷이 알을 품고 수컷이 먹이를 구하러 ... ...
두뇌발달 따라 교육법 달라야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많다. 그러나 제대로 된 시기에 하면 언어기능의 뇌가 집중적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조금
만 자극을 주어도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어 한다. 이 시기 언어 경험이 평생 국어실력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영어교육 역시 유치원에 들어가기 전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뇌 발달에 맞춰보면 교육적인 ... ...
박테리아가 말하는 익사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여검시관 히카루는 부검하기 전에 항상 합장하고 “아프겠지만
조금
만 참아주세요”라고 기도한다. 부검을 하는 모든 검시관은 히카루와 같은 마음일 것이다. 부검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혐오감이 사라졌으면 하는 바람이 법의학자뿐만 아니라 모든 의사의 마음이리라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하지만 최근에는DNA 구조 발견이 생물학의 파편화를 가져왔다고 주장하는 목소리도
조금
씩 나오고 있다. 생물학 분야를 너무 세분화·정밀화시켜, 같은 주제를 연구하는 과학자 사이에도 대화가 통하지 않는다는 비판의 목소리다. 결국 이런 경향은 생물학을 생명현상의 이해라는 원래 목적에서 ... ...
또다른 내가 무한개 우주에 살고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또다른 새로운 이론이 등장해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조금
씩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더 잘 이해해 나가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현대과학은 영화에서나 등장하던 평행우주가 실제로 얼마든지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불과 수십년 전만 해도 ... ...
암울한 미래 디스토피아의 자화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인간에게 나쁘다는 이유로 금지됐을 것이다. 이렇게 재미없는 세상이 우리의 미래라면
조금
은 폭력적이고 불안해도 현재가 더욱 살기 좋은게 아닐까.통제 못지않게 심각한 것은 개인에 대한 ‘감시’다. 영화 ‘에너미 어브 더 스테이트’에서 국가는 인공위성과 도청을 이용해 개인을 감시한다. ... ...
눈사태 집중 해부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자기를 지구자기 혹은 지자기라 한다 이 지자기는 어떤 한 지점에서 측정하면 항상
조금
씩 변화하는데 때로는 돌발적으로 두드러진 변동을 보이는 수도 있다 그 원인은 태양의 흑점 부근에 많이 발생하는 폭발현상 때문이다 이 현상을 자기폭풍이라 한다6백50℃ 이상의 고온에서도 장시간 그 형상을 ... ...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대부분 DNA 염기서열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다.생물체의 DNA 염기서열은 시간에 따라
조금
씩 변화하게 된다. 그 가운데 한 염기가 다른 염기로 변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염기전위(transition)와 염기전환(transversion)이다. 염기에는 고리가 두개인 아데닌(A), 구아닌(G)과 같은 피리미딘 염기와 ... ...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낳은 후 짜낸 젖은 하루에 47㎏으로 보통 젖소의 2배나 된다”며 “영롱이는 다른 소보다
조금
더 많이 먹는 정도”라고 말했다. 만일 전국의 모든 소가 영롱이를 키운다면 농가에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장 규모와 키우는 소를 절반으로 줄여도 같은 양의 우유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 ...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청어의 뼈를 세다물고기는 같은 종이라도 지역에 따라
조금
씩 형질의 차이를 보이는데, 학자들은 종의 하위단계인 이런 개체군을‘계군’(stock)이라 부른다. 독일의 하인케는 물고기가 갖는 여러 형질 중에서 등뼈의 수로 계군을 나누는 방법을 처음 시도했다. 그는 1875년에서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