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황금비의 대명사는 파르테논 신전과 앵무조개?!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속았다. 속아도 단단히 속았다.’황금비의 사례로 알려진 대부분의 건축물, 예술작품에는 황금비가 없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수학적으로 아름다움을 증명한 비라고 오해한 탓에 수많은 역사가와 예술평론가가 황금비에 쉽게 현혹되고 말았습니다. 한 번 잘못 알려진 황금비 작품은 그게 사실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멉니다. 다 빈치가 황금비를 토대로 작품을 만들었다는 증거도 없습니다.박제남 인하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는 “황금비를 적용한 예술작품이 많은데, 굳이 황금비인지 아닌지 정확히 알 수 없는 작품을 황금비 작품이라고 소개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습니다.황금비 열풍의 범인은 파촐리황금비를 ... ...
- 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여러 인공신경망 번역기 중에서도 구글 번역은 특별하다. 새로운 언어를 추가해도 따로 알고리즘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 구글은 알고리즘 하나에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 8개 언어를 모두 학습시켰다. 이를 ‘다중언어모델’이라 한다.이쯤에서 구글 개발팀은 궁금한 게 생겼다. 번역 알고리즘 하 ... ...
- Part 1. 생물들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산불에 강한 외피를 갖고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무척추동물] 1만 1000살 해면동물한남대학교 심정자 생명과학과 교수는 해면동물이 어디에서나 잘 살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실제로 해면동물은 남극과 열대지역, 수심이 낮거나 높은 지역에서 모두 발견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세포의 수명을 알려 주는 텔로미어우리 몸 세포는 끊임없이 태어나고 죽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어요. 시간이 지나면 길게 자란 손톱과 머리카락을 잘라야 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그런데 세포가 언제 태어나고 죽는지를 결정하는 건 무엇일까요? 그 답은 ‘텔로미어’랍니다.우리 몸은 약 60조 개의 ... ...
- 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환경, 방사성 물질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잘 살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지요.일본 도쿄대학교 구니에다 다케카즈 교수팀은 물곰의 유전 정보인 DNA를 분석했어요. 그리고 물곰의 DNA를 보호하는 ‘방패’ 단백질을 찾았지요. 이 방패 단백질은 물곰이 방사선을 맞으면 DNA를 껴안듯 감싸 보호하는 ... ...
- [2017 모집]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수 있는 탐사기록 다운로드 기능 제공Q 지구사랑탐사대란?와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교수팀이 함께하는 무료 생태 탐사 프로그램이에요. 온가족이함께하는 생태탐사이자, 시민이 과학자의 연구에 참여하는 대규모 시민과학 프로젝트지요.탐사대원으로 선발되면 4월 초 ... ...
- Part 3. 이런 깜짝 놀랄 닭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지난 해 3월, 칠레 연구팀은 닭의 배아 유전자를 조작해 닭다리를 공룡 다리와 비슷하게 바꾸는 데 성공했어요. 공룡은 조류로 진화하며 ‘비골’이라는 다리뼈가 작아졌답니다. 원래 공룡의 비골은 정강뼈와 거의 같은 길이였지만, 조류가 되면서 비골이 작아져 거의 정강뼈만 남게 됐지요.연구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파부르야, 힘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물건을 만드는 데 얼마나 많은 물이 사용되는지 알기가 어려워요.2002년 네덜란드 트벤테대학교의 아르옌 훅스트라 교수는 음식과 물건에 얼마나 많은 물이 사용되는지 알기 쉽게 ‘물발자국’을 만들었어요. 물발자국을 보면 우리가 얼마나 많은 물을 사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지요.지구의 인구는 ... ...
- [과학뉴스] 지구 핵 속 미지의 원소, 정체는 규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후보 중 하나로 지목돼 왔지만 구체적으로 검증된 적은 없었다.일본 도호쿠대 광물물리학대학원 오타니 에이지 교수팀은 철과 니켈, 규소로 이뤄진 ‘미니 지구핵’을 만들어 6000℃로 가열하고, 지표면의 360만 배에 달하는 압력을 줬다. 지구 내부 상황을 재현한 것이다. 여기에 지진파를 일으켜 ... ...
이전4144154164174184194204214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