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맨틀 속 신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최근에도 지구 밑에서 ‘정체불명의 거대한 덩어리’가 발견됐지요!미국 애리조나주립
대학
교 심상헌 교수팀은 지진파를 분석하던 중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어요. 맨틀의 가장 아래쪽 부분에 지진파가 갑자기 느려지는 지역이 있었던 거예요. 지진파가 느려진다는 건 주변과 성분이 다른 물질이 ... ...
[가상 인터뷰] 오염된 하천에서도 잘 사는 물고기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동물은 이 유전자의 다양성 수준이 훨씬 낮기 때문이지요.연구를 이끈 캘리포니아
대학
교 앤드류 화이트헤드 교수의 말에 따르면, 저희는 개체수가 많고 오염 물질의 농도가 다양한 지역에 살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진화할 수 있었을 거래요. 하지만 저희가 특수하게 진화한 거고 대부분의 동물은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발톱으로 긁은 듯한 구덩이가 처음으로 발견됐어요. 당시 저는 2011년부터 미국 콜로라도
대학
연구팀과 함께 콜로라도 주의 백악기 지층을 조사하던 중이었지요. 이후 총 50여 개의 지점에서 60개가 넘는 구덩이를 발견했어요.구덩이의 크기는 최대 길이가 2m 정도로 매우 거대했답니다. 이 구덩이는 ... ...
[수학뉴스] 물고기 구피의 수학 실력은 후천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구피의 수학 실력이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탈리아 파도바
대학
교 연구팀이 구피 26마리에게 간단한 실험을 한 결과입니다.연구팀은 수조 양쪽에 물고기 네 마리와 여섯 마리를 각각 가둔 뒤 구피를 수조에 넣고 어디로 향하는지 관찰했습니다. 물고기가 많이 모여 있는 ... ...
[수학뉴스] 크거나 작거나 중간은 없는 동물의 세계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
교 연구팀은 일부 동물의 장식 크기에 중간은 드물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장식이 크거나 작거나 둘 중 하나라는 뜻입니다. 연구팀은 사슴의 뿔, 수사자의 갈기 등 동물 15종의 장식 크기에 관한 자료를 그래프로 나타냈습니다.그 결과 사자와 쇠똥구리, 집게벌레,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온라인 정육점 정육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주로 머물고 있다는 서울대 SK플래닛 상생혁신센터를 찾았다. 첫인상은 ‘젊다’였다.
대학
교를 갓 졸업한 느낌이 물씬 났다. 직접 만나면 돼지고기와의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은 착각이었다. 인터뷰를 시작하기 전까지 돼지고기와 아무 관련이 없어 보였다. 사무실에도 코딩 화면이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트리버스는 방학 때면 자메이카로 날아가 도마뱀의 행동을 연구했다. 첫 학기
대학
원 세미나에서 그는 해밀턴의 포괄 적합도 논문(1964년)을 읽었다. 말할 필요 없이, 집단 선택설을 침몰시키고 개체 선택설을 뒷받침하는 논문에 그는 홀딱 빠졌다. “나도 이처럼 중요한 발견을 할 수 있지 않을까 ... ...
Part 3. 자기장과 진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속 소음으로 지구 속을 본다?스웜 위성이 우주에서 지구 내부를 봤다면, 미국스탠포드
대학
교 나카타 노리 박사팀은 가까운 일상 진동을 이용해 지구 내부를 봤어요.지진에서 발생하는 지진파는 퍼져나가면서 땅 속 암석들에 의해 모양이 변해요. 이를 통해 지구 내부 구조를 짐작할 수 있지요. ... ...
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중력을 받고 있을 테니, 핵의 시간은 느리게 갈 것이다.”그런데 최근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
교 울릭 우거호 교수팀이 지구 핵의 나이를 실제로 계산한 결과 파인만의 예언이 사실이었다고 밝혀냈어요! 우거호 교수팀은 지구 핵 내부의 중력과 핵의 밀도 등을 고려해서 실제로 지구 핵에 적용되는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무선충전 가능한 거리가 짧습니다. 고작 몇 cm에 불과합니다.2007년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
대학
은 이런 단점을 극복하고자 자기공명 방식 무선충전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똑같이 코일 두 개와 자기장을 이용하지만 공명 주파수를 변형해 더 먼 거리에서도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입니다. 1m ... ...
이전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