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음대로 접을 수 있는 ‘종이 태양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이 놀라운 태양전지를 만든 주인공은 바로 우리나라 과학자들이랍니다. 한국전기연구원의 이동윤, 차승일 박사팀은 실리콘이나 유리기판으로 만들어 딱딱했던 기존의 태양전지를 금속격자와 세라믹종이, 나노섬유를 이용해 가볍고 부드러운 ‘종이태양전지’를 만들었어요. 이 태양전지는 건물의 ...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게 별로 없어 그 위험성을 섣불리 말하기 어려워요." - 심원준 (한국해양연구원 책임연구원)미세먼지보다는 꽤 큰 데 왜 문제냐고? 작은 플라스틱은 해로운 물질을 잘 빨아들이는 성질이 있어. 마이크로플라스틱이 바다에 사는 물고기나 새에게 직접 피해를 입히는 게 아니라 여기에 달라붙은 ... ...
- 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것들도 있다. 에디는 덧없이 나타났다 사라지는 가벼운 존재가 아니다. 이재학 한국해양연구원 기후·연안재해연구부 박사는 “에디는 하나의 고립된 현상이기 때문에 내부와 외부의 수온이나 염도 차, 밀도 차, 플랑크톤 함유량이 달라진다”며 “바닷속에서 수없이 많은 에디들이 떠다니며 해양 ...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이 순간을 최초로 포착했다.우리나라에서도 서울대 초기우주천체연구단과 한국천문 연구원의 연구진이 보현산 1.8m 망원경을 비롯한 여러 지상관측 시설을 이용해 이 현상이 실제로 조석파괴이며, 이를 일으킨 거대질량 블랙홀의 질량이 태양의 약 1000만 배라는 중요한 사실을 알아내는 데 많은 ...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부른다. 최근 ‘ICBM, 그리고 한반도’를 펴낸 정규수 전 국방과학연구소(ADD) 연구원은 “속도를 극한까지 끌어올린 고성능 탄도탄을 개발하고, 탄두 부분에 폭약이 아니라 열에 강한 텅스텐 종류의 합금덩어리 하나만 넣어도 굉장한 무기가 된다”며 “운석이 지구 표면에 떨어지는 상황을 ... ...
- 누구나, 함께 쓰는 슈퍼컴 전도사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세상에 슈퍼컴퓨터가 좋다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런데 슈퍼컴퓨터를 쓰고자 엄두를 내는 사람도 없습니다.”김종원 고성능컴퓨팅 협업 ... 슈퍼컴퓨터를 쓸 수 있게 지원하고, 보다 친밀한 협업환경을 만들려는 김 교수와 연구원들의 노력이 과학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
- 세상을 밝히는 등불처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내게 가장 자랑스러운 연구 결과로 남아있다. 이후 삼성전자 연구원, 해외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거쳐 2007년 9월 성균관대에 둥지를 틀어 많은 석·박사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졸업하던 그해 겨울 열정적인 연구의 기억은 여전히 삶의 지침과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제자들을 훨씬 나은 인재로 ... ...
- 마법 요리의 세계로 오세요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무슨 말인지 의미를 알 수 없는” 화학을 연구할 용기가 생겼다. 열심히 공부해 화학 연구원이 되는 게 꿈이다. 나서는 걸 싫어했던 김한슬 학생도 마찬가지다. 과학봉사를 갔던 시설 학생들에게 더 도움을 주고 싶어 수학, 영어를 가르치는 ‘학습봉사’도 시작했다.PSL은 학습과 인성 면에서 ...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질문이었다.절대 풀 수 없는 암호는 이미 있다. 거의 100년 전인 1917년 미국 AT&T사의 연구원 길버트 베르남이 만든 ‘베르남 암호’(Vernam Cipher)다. 수학적으로 키 없이 이 암호를 해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증명됐다. 이 암호의 문제점은 원래 정보와 길이가 똑같은 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 ...
- 서울·런던 지하철 왜 비슷할까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물리학 연구 결과가 나왔다.마르크 바르텔레미 프랑스 대체에너지및원자력에너지위원회 연구원과 강숭문 영국 런던대 경영과학혁신과 교수팀은 베이징, 시카고, 런던, 마드리드, 뉴욕, 서울, 파리, 도쿄 등 역 수가 100개가 넘는 대규모 지하철 노선도의 기하학적 구조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 ...
이전4154164174184194204214224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