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외탐사Big3 - '과학특별시민'을 모집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생물자원의 소중함을 배워 보자!대상 중·고등·대학생 | 선발 인원 2명 | 후원 한국해양
연구원
3 뉴칼레도니아에서 해양 체험을?!‘뉴칼레도니아’ 하면 드라마 에 나온 하트 섬을 가장 먼저 떠올린다. 뉴칼레도니아는 태평양에서 세 번째로 큰 섬나라로, 호주와 뉴질랜드 사이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자유자재로 변형해 연료캡슐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압축하는 기술이다. 임창환
연구원
은 “고속 점화와 충격 점화를 동시에 이용하면 더 적은 에너지로도 점화 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원자력연은 현재 1KJ급의 고에너지 레이저를 보유 중이며 향후 출력을 높여가며 관련 실험을 할 계획이다. ... ...
지구에서 가장 ‘핫(hot)’한 곳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위성이 측정한 온도는 지표면 자체의 온도기 때문이다. 마이크 카를로비츠 지구관측소
연구원
은 “태양이나 대기 복사에 의해 땅이 달궈진 정도를 반영하고 있어 지상에서 측정한 기온과는 다르다”고 ... ...
“과학의 매력은 어렵다는 것”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하고, 그 궁금증을 해결하는 것이 바로 삶의 목표이자 원동력이 돼야 합니다.”박
연구원
은 일반 대중들을 과학의 매력에 빠트릴 수 있는 비결을 이와 같이 설명했다. 박자세는 지금도 ‘시공의 춤’과 ‘원자의 춤’, ‘세포의 춤’이란 주제로 강연을 계속 하고 있다. 쉽고 재미있는 과학이 과학의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지하수나 강물로는 양이 부족해 한계가 있다. 한국에너지기술
연구원
의 곽희열 책임
연구원
은 태양열 집열기를 이용해 바닷물을 뜨겁게 데운 후, 바닷물을 담은 통의 기압을 조절해 끓는점을 낮춰 물을 빠르게 증발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높은 산에서는 기압이 낮아 물이 저온에서 끓는 원리다.이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우리는 M! I! B! 바로 Math In Black이지. 어둠 속에서 수학으로 외계인을 찾는 특수 조직이야. 우리를 Men In Black이라고 착각하진 말아 줘. 우린 그 친구들처럼 우주를 다 부술 기세로 외계인을 찾거나 하지 않아. 우리는 우아하게 수학으로 외계인을 찾지.영국의 솔즈베리에서 발견된 두 개의 원형무늬나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발전시켜 나가는, 오롯이 혼자 헤쳐나가야 하는 길인 것이다. [최 교수(왼쪽)와 한규희
연구원
이 전자현미경을 통해 나노 입자를 관찰하고 있다.] “어떻게 물리를 싫어할 수가 있죠?”공학자가 되는 데 가장 중요한 과목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최 교수는 망설임 없이 물리를 꼽았다. 하지만 물리를 ... ...
낙엽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낙엽을 이용한 버섯재배를 하면서 버섯에 관심을 갖게 됐다. 지금은 버섯연구소
연구원
이 되고 싶다고 한다. 연구 아이디어를 내고, 실험을 설계하고, 직접 실험을 해 보고서를 쓴 경험은 학생들을 한 뼘 더 자라게 했다. 6개월 동안의 연구를 해낸 이 학생들이라면 꿈을 모두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
[과학뉴스] 우리나라도 달 탐사 나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우리나라도 달에 가요. 우리나라가 미국과 함께 달을 탐사할 계획이거든요.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부터 ‘루너 임팩터’라는 연구과제를 해오고 있답니다. 아래 사진은 루너 임팩터 상상도예요.루너 임팩터는 달 궤도에 우주선을 보낸 뒤 달 표면에 무게 1kg 정도인 ... ...
7년 만의 태양폭풍, 지구를 강타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국립전파
연구원
은 1월 28일 새벽 3시 25분쯤에 올해 들어 가장 큰 규모로 태양흑점이 폭발했다고 밝혔어요. 이 폭발로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지역의 단파통신이 1시간 정도 끊겼어요. X선과 방사능을 포함한 태양폭풍이 지구로 날아와 지구의 통신장비를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방해했거든요. ... ...
이전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