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169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과학동아 l201204
- 에너지 속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모든 데이터의 양을 계산해 보자. 양자컴퓨터의 기본 단위가 되는 입자(양자)의 양을 계산한 뒤 이들이 우주공간에서 무작위적으로 배열될 경우의 수를 찾으면 된다. 그 값은 자그마치 10을 10122번 제곱한 수다. 이론적으로 우리 우주 안에는 이만큼의 데이터(정보)가 ... ...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과학동아 l201204
- 0.5T, 2T, 3T, 7T 등이 붙는데 이는 자기장의 크기를 의미한다. ‘T’는 자기장을 나타내는 단위인 ‘테슬라(Tesla)’로 1테슬라는 1만 가우스(Gauss)와 같다. 지구의 자기장 강도가 약 0.5가우스이므로 MRI가 갖고 있는 자기장의 세기는 지구 자기장의 적게는 수만 배, 많게는 수십 만 배에 해당한다.MRI는 ... ...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어린이과학동아 l201204
- 에너지는 우리나라에서 1년 동안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전기의 5배에 달한다.*GWh : 기가 단위 전력량. kWh의 천 배다.열은 물을 데울 수 있다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면 이 어둠과 추위에서 벗어날 수 있다니 정말 다행이야. 하지만 햇빛만 가지고 에너지를 만드는 건 뭔가 조금 아쉬운 느낌이 들어. ... ...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04
- 머리끝과 발끝 옆에 있는 2개의 수평선 사이(❷)에는 이진법 8이 적혀 있다. 길이의 단위는 21cm로, 여기에 8을 곱하면 168이다. 이는 여자의 키가 168cm라는 것을 의미한다.금속판의 왼쪽에는 한 점을 중심으로 15개의 선(❸)이 뻗어나가고 있다. 이 중 14개의 선에는 이진법의 숫자가 쓰여 있는데, 이는 ... ...
-
- Part2. 인공 뇌 만들기과학동아 l201203
- 대뇌 신피질 한 부분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실제 뇌에서 사고 활동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다. 2011년에는 이런 부분 100개에 해당하는 뉴런 100만 개로 이뤄진 회로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2014년에는 뉴런을 1억 개까지 늘려 쥐의 뇌 전체를 시뮬레이션할 계획이다.연구팀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 ...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과학동아 l201203
- 원전 연구의 최전선을 점검해 봤다.“선박 동력 기술의 발전사를 보면 최근 거의 10년 단위로 배의 동력원이 바뀌었어요. 그 자리를 원전이 차지할 날도 머지 않았다고 봅니다.”이정익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의 연구실 이름은 ‘원자력 발전 및 동력 연구실’이다. 발전 뒤에 붙은 ... ...
-
- 연산, 흥미를 갖고 따라와~!수학동아 l201203
- 물건이 두 개 이상 있을 때 어느 것이 더 저렴한지 따져보기 위해서 한 개당 가격이나 단위무게(1g 또는 1kg)당 가격 등을 계산해보기도 한다(정수의 계산 : 나눗셈). 무게를 달아서 파는 물건을 살 때는 저울에 재서(근삿값) 물건 값을 계산(유리수의 계산)한다.이처럼 수와 연산은 늘 우리 곁에 있어요. ... ...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과학동아 l201203
- 계산법에 대한 아이디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들은 뉴런이 컴퓨터의 기본 단위인 논리 게이트와 마찬가지로 논리 계산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컴퓨터는 논리 게이트 수백만 개 이상의 집합이고, 뇌는 뉴런의 집합이니 뇌 또한 컴퓨터와 다를 바 없다는 생각이었다. 당시에는 뇌를 ... ...
-
- 더 빨리, 더 크게, 더 높이과학동아 l201203
- 형태, 표면, 속도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마하는 소리만큼 빠른 속도를 나타낼 때 쓰는 단위입니다. 1마하는 소리의 속도로 1초에 약 340m을 갑니다. X-43A는 이론상으로 마하 15의 속력으로 날 수 있습니다. 실제 마하 9.68(11200km/h)을 기록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길이 약 3.7m, 무게 약 1300kg인 작은 몸체 ... ...
-
- [정보] 수학으로 지키는 우리 문화재수학동아 l201203
- 것으로 나타났어. 도망치기 위해선 일단 포식자를 잘 봐야 하거든. 실험에서는 1/30초 단위로 송사리의 위치를 좌푯값으로 표현해 이동을 수치화했어. 이 연구 결과는도망치는 물고기를 몰아서 잡는 ‘함정 어업’에 활용될 수 있다고 해.하지만 동물의 행동을 연구하는 더 큰 이유는 따로 있어.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