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행로
길
복도
진로
도로
길거리
입구
d라이브러리
"
통로
"(으)로 총 56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06
피해 살기좋은 곳을 찾아 옮겨다녔다. 해수면이 낮아져 대륙 사이, 대륙과 섬 사이에
통로
가 생기자 많은 동물들이 도처로 이주했고 인류도 이들을 따라나섰다. 마지막 빙기에 아시아인이 베링해협을 통해 북아메리카로 이주한 것이 한 예이다. 활발한 이주로 인해 지구상에 인류가 살지 않는 곳은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06
막히면 병의 원인이 된다. 기는 몸안에서 경락을 따라 흐른다. 경락은 몸 안에 있는 기의
통로
이다. 경락이 달리는 몸 거죽 위에는 많은 침자리(경혈)가 있다. 경혈이란 생체의 반응점인데, 침을 놓거나 뜸을 뜨기에 적당한 자리이다. 이 자리를 침 또는 뜸으로 자극하면 관계된 오장육부의 병이 낫게 ... ...
Ⅰ. 피라미드, 스톤헨지 그리고 판테온
과학동아
l
199905
미라는 피라미드 밑의 땅 속에 묻혔다. 쿠푸왕의 피라미드 경우 묘실로 가는
통로
가 중간에 두 갈래로 갈라지는데 이 가운데 한 갈래는 지하로 이어진다. 이것은 도굴을 방지하기 위해서 땅 속의 가짜 묘실로 인도하는 일종의 속임수이기도 하지만 그 이전에 미라를 땅 속에 묻던 방식의 잔재이기도 ... ...
① 시험관아기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05
요도로 연결되는 길이 정자의 이동
통로
다. 선천적으로 또는 특정 질환 때문에 이 이동
통로
의 어느 부위가 막히면 불임의 원인이 된다.하지만 이 경우는 큰 문제가 안된다. 일단 몸 안에 수정에 필요한 완벽한 재료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때 수술을 통해 막힌 곳을 이어주거나, 부정소의 정자를 ... ...
영혼, 육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905
공간 속으로 떠다니는 느낌을 갖는다. 사후의 삶을 믿는 사람들은 터널을 내세로 가는
통로
라고 생각하며, 터널의 끝이 이승과 저승이 갈리는 장소이므로 이곳에서 지구로 되돌아갈 것인지 아니면 내세로 계속 나아갈 것인지 여부에 대한 중대한 결정이 내려진다고 믿는다.그러나 과학자들은 터널을 ... ...
Ⅰ. 생명의 국경선 생체막
과학동아
l
199903
물론 양수기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전기 에너지를 써야 한다.한편 이온 채널이라는
통로
를 통해 이온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특정 이온이 막을 통과해서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하는데, 이를 선택적 투과성이라고 한다. 즉 채널과 펌프는 기본적으로 서로 반대되는 일을 하는 셈이다. ... ...
고대) 우상 숭배의 물증
과학동아
l
199902
않다면 다니엘이 승려들을 모함했다는 점이 밝혀진다.사실 승려들은 제단 밑에 비밀
통로
를 만들어놓고 밤에 몰래 들어와 음식을 모두 먹어치웠다. 이를 눈치챈 다니엘은 하인을 시켜 하얀 횟가루를 신전 곳곳에 뿌려놓으라고 일러놓는다.왕은 승려들이 시키는대로 음식을 차려 놓은 후 문을 ... ...
④ 각광받는 미래에너지 수소
과학동아
l
199901
전혀 유발하지 않는 새로운 개념의 발전기술이다. 연료전지는 (그림2)에서 보는 것처럼
통로
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접촉면에 전극판 물질을 만들어 수소와 산소를 통과시키면 이들의 화학반응으로 인해 전기가 발생되는 원리를 채용한 것이다.이 장치는 1839년 영국의 그로브(W.R.Grove)가 발명했으며, 19 ... ...
국제우주정거장 첫번째 조립작업 성공
과학동아
l
199901
봅 캐바너와 러시아의 우주비행사 세르게이 크리칼레프는 유니티로 들어간 다음 연결
통로
를 통해 자랴로 이동함으로써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번째 방문객이 됐다. 이들은 지상에서 우주정거장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통신장비를 설치했다. 이로써 국제우주정거장 첫 번째 건설은 무사히 끝났다 ... ...
3. 생명현상 조절하는 생체전지
과학동아
l
199811
이동해 가면서 전류가 전달된다. 열려진 Na+
통로
는 곧 닫히게 되며 이와 동시에 K+
통로
가 열려 세포 안쪽에 높은 농도로 존재하던 K+가 세포 밖으로 빠져나간다. 이렇게 되면 세포 안쪽은 다시 전기적으로 음성을 띠며 원래의 휴지전위와 같은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 현상을 재분극이라 한다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