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길
한길
대도
가로수 길
d라이브러리
"
대로
"(으)로 총 2,233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예르미타시 박물관展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취재를 통해 겨울 궁전 속 프랑스 명화를 만나는 특별한 경험을 했어요. 또 자신만의 느낌
대로
예술을 즐기는 방법도 배웠지요. 어과동 친구들도 이번 겨울 방학엔 예르미타시전을 보며 예술을 즐겨 보세요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됐습니다. 인체 삽입형 센서를 통해 이 어린이의 생체 신호를 파악한 로봇 다리가 생각한
대로
다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훈련한 결과입니다. 아이는 다시 축구 선수의 꿈을 꿀 수 있게 됐습니다. 로봇 기자의 보도입니다.” 의료계에 진출한 로봇환자의 질환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는 ... ...
Part 3. 역사의 흐름을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말이죠. 평화와 번영이 가득할 것 같았던 은하 제국은 몇 세기가 지나자 셀던의 예언
대로
쇠퇴와 멸망을 길을 걷습니다. 아시모프는 기원전 27년부터 15세기 초까지 흥망성쇠를 반복했던 로마 제국에서 영감을 받아 파운데이션을 썼다고 해요. 균형 잡힌 정치 시스템과 유연한 외교 등으로 막강한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작용하는 탁상시계와 달리, 휴대용 시계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중력의 방향이 제멋
대로
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한 장치가 시계학자 아브라함 브레게가 1801년 만든 ‘뚜르비옹’이다. ‘회오리 바람’이라는 뜻의 프랑스어인 뚜르비옹은 밸런스와 이스케이프 휠에 붙어 1분에 1번 정도 회전하며 ... ...
[Issue] 어서와, 경제는 처음이지?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000원)를 기준으로 했을 때, 제품의 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37%에 불과한 셈이다. 이 주장
대로
라면 애플은 어마어마한 폭리를 취하는 악덕기업이 된다. 그러나 필자는 이 주장에 동의하기 어렵다. 경영학자로서의 경험과 지식에 비춰볼 때, 애플은 아이폰X 초도생산물량(initial production)에서는 엄청난 ... ...
알고는 있나? 슬링키의 수학스러움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여러분은 슬링키를 어떤 방법으로 즐기나요? 보통 양손으로 슬링키를 잡고 저글링을 하듯이 위아래로 손을 엇갈려 움직이며 코일이 오른쪽 ...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혹시 모르니, 잠자고 있던 슬링키를 꺼내 돌려 봐야겠어요. 제멋
대로
엉킨 슬링키가 풀리는 기적이 일어나길 바라면서요 ... ...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베르누이에 따르면 던지는 횟수를 무한정 반복하더라도 그 값은 베르누이가 말한 방법
대로
구한 확률과 차이가 없다는 거였죠. 바로 ‘큰 수의 법칙’입니다. 얼마나 다행인가요.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오는 확률을 구하려면 무한정 던져야 했을 텐데 간단한 계산만으로 정확한 확률을 구할 수 ... ...
두리안과 잭푸르트, 반전 매력 속으로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나름 규칙적으로 보이는 면을 찾아 사진을 찍어봅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방법
대로
선분과 수직이등분선을 그리면, 정말 놀라운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기하게도 두 껍질에는 이미 진한 갈색으로 점이 찍혀 있습니다. 그리고 진한 녹색 선이 껍질을 나누고 있지요. 그 선이 보로노이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있었어요. 주제전시관 안에만 40여 개 부스가 마련됐지요. 그 중 어떤 물건이든 디자인한
대로
만들 수 있는 3D 프린터와 3D 펜이 어린이 기자들의 관심을 끌었어요. “저기 보이는 곳에서 플라스틱이 흘러나온 뒤 빠르게 굳어요. 그래야 원하는 모양으로 플라스틱이 쌓이며 모양을 잡을 수 있죠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일하다’라는 뜻의 ‘지을 작(作)’이 합쳐진 단어예요. 기계나 사물을 자기가 원하는
대로
조종한다는 뜻을 담고 있지요.‘잡을 조(操)’는 ‘손 수(扌=手)’와 ‘울 조(喿)’가 합쳐진 한자예요. 여기서 ‘울 조(喿)’는 나무(木)에서 울고 있는 새들의 입(品)을 나타내지요. 여러 마리의 새들이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