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로"(으)로 총 2,23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6개 학교에서는 하루 40분씩 야외수업을 했고, 나머지 6개 학교에서는 기존에 하던 대로 실내수업을 했다. 3년 뒤 근시가 발병한 어린이 비율은 각각 30%와 40%로 다소 차이가 났다. 연구결과는 ‘미국의학협회저널(JAMA)’ 2015년 9월 15일자에 실렸다(doi:10.1001/jama.2015.10803). 전문가들은 하루 3시간, 1만 ...
- [SW 기업 탐방] 험온, 콧노래만 흥얼거려도 자작곡 완성~!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고르면 그에 맞게 편곡해 반주도 해준다. 반주에 쓰인 악기의 종류나 음량도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고, 곡 여러 개를 묶어 앨범을 만들 수도 있다. 재킷까지 만들어 넣으면 나만의 음반 완성. “무조건 1년 안에 결과물을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기본 기능만 탑재해 서비스했어요. 놀랍게도 생각보다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수많은 아이들이 와서 날 붙잡고 울고 갔어. 명은이도 둘째날에 왔더라. 무슨 말도 제대로 못하고 내 손을 잡고 띄엄띄엄 우는데, 참을 수가 없는 죄책감이 밀려왔다. 어째서 나만 몰랐을까. 네 많은 친구들은 너를 위해서 대신 센서를 인식해 준 경험이 있더라. 대신 문을 열고, 대신 연락을 취하고,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터프한 일부터 생존자를 구조하는 섬세한 작업까지 다재다능해야 한다. 로봇 한 대로 해결하기 쉽지 않다. 그런데 최근 이런 작업을 전부 소화할 수 있는 ‘만능 로봇’이 등장했다. 히로시 요시나다 일본 오사카대 공학대학원 특임교수팀이 개발한 ‘두 팔 달린 굴삭기 로봇’이 그 주인공이다. ... ...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이현진 연구원(인천대 생명공학부 석박사통합과정)은 “연구실에서 하던 평소 습관대로 영어로 된 전문용어를 썼는데 학부생과 고등학생 팀원들이 이해를 못해 아차 싶었던 경험이 있다”며 “과학기술이 발전하려면 후배 과학자를 양성하는 게 중요한데, 교육이나 공동연구 등을 할 때 소통을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수 없다는 내용이었다. 이는 다름 아닌 수학적 우주에 관한 논문이었으나, 테그마크는 이대로 행동하면 다음 직장은 대학교의 물리학 연구실이 아니라 햄버거 가게의 점원이 될 것 같은 위협을 느꼈다. 그래서 ‘지킬 앤 하이드’ 전략을 쓰기로 한다. 누군가 무슨 연구를 하느냐 묻는다면 존경받는 ... ...
- [Issue] 화려함을 디자인하는 과학, 불꽃놀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주변을 다시 파란색을 띠는 별들로 둘렀다. 완성된 타상연화는 과연 기자가 원하는 모양대로 불꽃을 터뜨려줄까. 해가 뉘엿뉘엿 지는 하늘을 보니 가슴이 콩닥거린다. 잠시 뒤 깜깜한 밤이 오면 편집부 가족들이 보는 앞에서 타상연화가 부푼 기대를 안고 하늘 끝까지 솟구칠 것이다. 그리고 크기가 ... ...
- Intro.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신비한 수학사전 알쓸신수!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알쓸신수 진행을 맡은 작곡가 ‘MC 유’입니다. 오늘도 4명의 박사님과 함께 생각나는 대로 쏟아내는 수다 여행을 떠나려고 합니다. 쓸데없어 보인다고 외면하지 마세요. 오늘의 수다 주제는 여러분이 좋아하는 ‘수학’이니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신비한 ... ...
- [수학공감] 수학, 놀이가 되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친구들에게 소개한다.컷팅프린터★ 두꺼운 A4용지 같은 종이를 프로그램으로 설계한 대로 잘라주는 기계다.독특하게 각 종이의 중심에 ∫, Σ, π, ∞, sin같은 다양한 수학 기호가 컷팅프린터로 잘려 있었다. 무드등을 완성하면 빛이 이 기호로 흘러 나온다. 학생들은 컷팅프린터의 원리와 입체도형의 ... ...
- 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스마트칩을 만들었다. 이 칩을 등에 단 바퀴벌레는 연구팀이 스마트폰 앱으로 조종하는 대로 방향을 바꿔 움직인다. 쉽게 말해 살아 있는 바퀴벌레를 이용한 ‘좀비 로봇’이다.아예 바퀴벌레의 특기를 흉내 낸 로봇도 있다. 러시아 임마누엘칸트발틱연방대 연구팀은 바퀴벌레의 재빠른 발을 흉내 ... ...
이전404142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