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로봇"(으)로 총 2,376건 검색되었습니다.
- [변화1] 가상 공간에서 오감을 느낀다! 확장 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재확산이나 또 다른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이 일어날 것을 대비하는 거죠. VR과 AI, 로봇 산업이 발달해서 사람이 해오던 일을 대신 할 거예요. 특히 온라인 수업, 온라인 쇼핑몰 같은 온라인 플랫폼과 온라인 서비스 분야가 두드러지게 발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반면 세계를 뒤흔든 전염병으로 ... ...
- [변화3] 사람이 없어도 척척! 무인 사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집밖에는 사람을 직접 만나지 않고 쇼핑하거나 결제하는 무인 가게가 있어. 김포에 위치한 무인 가게 ‘이마트24’에 직접 다녀왔지. 무인 가게 체험기, 들어 ... 원하는 메뉴를 고르고, 결제를 하면 주문이 주방으로 전달돼요. 완성된 음식은 자율 주행 로봇이 테이블까지 배달해 준답니다 ... ...
- [융복합 파트너 @ DGIST] 로봇공학전공, 피부에 '착' 전자 피부로 실시간 건강 진단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간단했다. 8월 26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생체집적전자연구실에서 만난 장경인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환자가 스스로 건강을 진단할 수 있는 생체신호 측정용 전자 피부를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발열 상태, 앱으로 실시간 확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건강에 대한 ... ...
- 셀프 디자인도 AI와 함께!수학동아 l2020년 10호
- 3차원 패션 디자인 플랫폼이 소비자가 입력한 신체 치수에 따라 실제로 옷을 디자인하고 로봇이 제품을 만든 뒤 집으로 배송해주는 거죠. 가까운 미래에는 스스로도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AI가 내게 꼭 맞는 옷을 추천하고 만들어 줄지도 모릅니다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뿜어져 나오는 어마어마한 괴력이란, 크으으~! 그런데 영화에 등장하는 헐크버스터가 로봇 공학자 크리에이터에 의해 실물로 제작되었어요. 강력한 펀치로 돌과 코코넛을 쪼개고, 불도 뿜는 초강력 헐크버스터를 구경하세요! ▶ 캔디 안에 강아지가 콕! 어떻게? 조회수 : 530만 회채널명 : ... ...
- [수학체험실] 중력을 거부한다! 공주부양 텐세그리티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덮어 만든 반구 모양의 건축물인 지오데식 돔은 텐세그리티의 일종이며, 텐트나 테이블, 로봇 등에도 텐세그리티 구조가 응용되고 있습니다.한편 2020년 우리나라에서는 ‘공중부양 텐세그리티’가 유명세를 탔습니다. 구조물의 상단이 마치 공중부양한 것처럼 보이는 텐세그리티로, 코로나19로 ... ...
- [가상인터뷰] 민첩한 동작 스스로 배우는 인공지능 4족 보행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어과동 친구들 안녕? 난 과학마녀 일리야. 최근 새로운 반려 로봇 ‘라이카고’를 입양했어.실제 강아지 행동을 잘 따라 한다고 칭찬해줬더니…. 침대까지 따라 올라 오지 ... 만들 거래. 인공지능은 자료가 많을수록 더 정확해지거든. 강아지보다 더 강아지같은 로봇을 기대해도 좋아 ... ...
- 섭섭박사에게 도전장이 날아왔다! 코딩로봇 ‘지니봇’으로 한 판 승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확인하는 등 양방향 수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답니다. _ 인터뷰이은승(지니로봇 대표) “지니봇으로 생각지 못한 걸 해내세요!” ‘지니봇’은 이름에 걸맞게 기능이 매우 많아서 제가 다 기억을 못할 정도예요. 여러분의 상상력에 한계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렇게 개발했지요. ... ...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성분을 측정하는 센서를 이식해 질병을 조기에 진단하고, 암이나 각종 희귀병을 나노 로봇으로 쉽게 치료한다. 실제로 나노의학 분야에서는 이런 SF영화와 흡사한 세계를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속속 이뤄지고 있다. 전자부품을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으로 작게 만들고, 인체에 부착하기 ... ...
- [꽃가루의 변신 3] 종이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이에 해당한다고 밝혔지.조 교수는 “이를 이용하면 작고 가벼운 소프트 로봇, 에너지 발전기, 센서 등의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지. _ 인터뷰3 조남준(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 교수) “꽃가루 종이는 학생의 실수로 탄생했어요!” Q 우연히 꽃가루 젤을 발견하셨다고요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