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변환"(으)로 총 1,327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한민국 원자력 기술의 상징, 하나로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중성자가 균일하게 반응하게 하는 기술이 핵심이다.이렇게 만든 반도체는 중성자핵변환도핑(NTD) 반도체라고 부른다. 실리콘에 가스 상태의 인을 주입해서 만든 것보다 인의 분포가 더욱 균일하다. 인의 분포가 고를수록 더 높은 전압과 전류에서 사용할 수 있다. 고속전철이나 전기자동차, 발전소 ... ...
- [현장취재]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개그 더하기 수학은?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빛을 쏜 뒤, 돌아오는 신호를 파인 홈의 깊이에 따라 0과 1로 해석해서 영상으로 변환하지요. 그런데 이때 DVD에 먼지가 묻거나 흠집이 나 있으면 신호를 잘못 해석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도 부호이론을 이용해 오류를 수정해요.”박 교수는 부호이론처럼 많은 수학 이론이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 ...
- 최고의 요리에 도전하라! 매스 셰프수학동아 l2012년 12호
- oz 단위로 제작된 계량 도구를 쓸 수도 있지만, 어떤 상황에서도 요리할 수 있도록 단위를 변환하고 양을 계산하는 것은 모든 요리사가 갖춰야 하는 기본 소양이다. 조리 시간도 수학으로 콕 집어 준다!이야~! 요리하면서 이런 계산을 하고 있었다니, 레미 너 정말 대단하다~. 하지만 레미, 레시피는 ...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말로는 쉬워 보이지만 1단계 반응에서 이산화탄소를 변환시킬 때 탄소가 쌓여 촉매 물질을 덮어버릴 수 있다. 이를 ‘탄소침적반응’이라 하는데 지금까지 이 분야의 연구에서 큰 장애물이었다. 전 박사팀이 이 문제를 해결한 방법은 산소를 빠르게 공급해 탄소와 ... ...
- 장애물 스스로 피하는 비행 로봇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고안했다. 연구팀은 먼저 3D 카메라 대신 평면 동영상 카메라로 찍은 이미지를 3D 모델로 변환하는 방법을 적용했다. 여기서 얻은 이미지를 모눈종이처럼 직선으로 표현하고 사물의 크기나 위치 정보를 각기 조합해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것.비행 로봇은 연구팀이 만든 ... ...
- 7년째 잡히지 않은 77246 위조지폐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지폐 뒷면에 써있는 금액의 숫자는 보는 각도에 따라 색깔이 바뀐다. 색변환잉크의 특허는 우리나라 조폐공사가 갖고 있다.국내 지폐 중 가장 고액권인 5만 원권의 입체형 부분노출은선도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입체형 부분노출은선은 지폐를 상하로 움직이면 태극무늬가 좌우로 움직이고, 지폐를 ... ...
- 영상의학,수학과 만나다!수학동아 l2012년 11호
- 위해서는 우선 주변 이미지 영역의 평균값을 구해, 모든 영역을 평균값으로 맞춰 변환해 줘야 한다. 잡티를 제거한 뒤 배경색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맞추기 위해서다. 그 다음은 미분방정식을 이용하면 된다. 먼저 구한 사진 데이터의 평균값을 미분방정식에 대입해 각각의 해를 구해야 한다. 그리고 ... ...
- 내장형 저전력연구실, 더 오래가는 스마트폰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보통 3.7V 하나만 들어가기 때문에 회로 안에 컨버터가 수십 개 들어가야 한다. 이때 전력 변환 손실이 40% 정도인데, 그것을 20%로 줄이겠다는 게 목표다.이밖에 최근 과제로는 무인항공기, 해저지진계, 물 담수화, 전기자동차 등이 있다. 삼성전자와 메모리 연구도 함께 하고 있다. 분야가 워낙 다양해 ... ...
- 암흑물질 3파전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고차원적인 대칭성을 갖는다. 그래서 이름이 ‘초’대칭이다.쉽게 이야기하면 어떤 변환을 했을 때 물리적 성질이 변하지 않는 게 대칭이다. 생활 속에서는 데칼코마니처럼 형태가 좌우로 같은 대칭이 있다. -1, 0, +1, … 이렇게 숫자도 대칭이 가능하다. 팽이처럼 회전시켜도 성질이 변하지 않으면 ... ...
- 컴퓨터가 부리는 독심술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칩 하나로 감정을 읽는 것이 가능하다. 작은 칩 하나에 생체 신호의 증폭부터 디지털 변환, 잡음 제거 등 여러 기능을 넣을 수 있는 ‘시스템 온 칩’ 기술의 발전 덕분이다. 이마에 붙이는 작은 스티커나 가벼운 헤드셋만으로 뇌의 신호를 읽어 무선으로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 있다. 뇌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