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경
변형
전환
개종
변질
변용
d라이브러리
"
변환
"(으)로 총 1,327건 검색되었습니다.
[5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눈길을 끌기 어렵다. 오히려 기사 말미에 소개된 ‘정상프리온이 변형 프리온으로
변환
되는 과정을 저해하거나 프리온에 감염된 세포를 치료하려는 연구’를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그 의미를 분석했으면 좋았을 뻔 했다. 물론 청소년 기자가 서두에 언급한 보도 기사나 논평을 제대로 쓰기는 어렵다. ... ...
중성미자 대결, 중국과 무승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중성미자검출기가 완성된다.]중국과 동등한 업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마지막 남은
변환
상수를 측정하기 위한 국제 경쟁에 우리나라가 뛰어든 건 2006년. 경쟁 상대인 프랑스의 ‘더블 슈(Double Chooz)’와 중국의 다야 베이에 비해 출발이 3~4년 늦은 상태였다. 하지만 실험 시작은 오히려 더 빨랐다 ... ...
작지만 값진 성공의 경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기초로 한 에너지
변환
및 저장 분야는 인류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각광받고 있다. 이 분야의 선두주자인 서울대 ‘광 및 전기화학 에너지 연구실’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는 석사 졸업 후 찾아왔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인연을 맺었던 성영은 교수가 서울대에 새로 부임해 받은 첫 제자가 ... ...
프리온(prion)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질환들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상 프리온이 변형 프리온으로
변환
되는 과정을 저해하거나 프리온에 감염된 세포를 치료하려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에 걸린 뇌조직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건 하나도 없어. 사람 몸이라는 건 지금 이 순간에도 바뀌고, 배설되고, 섭취한 영양분을
변환
해 새로 생겨나지. 생물은 그런 식으로 사실상 계속 몸을 옮기며 살아가는 걸세. 이 과자가 내 몸으로 들어와……. 잠깐, 과자는 또 언제 찾아낸 거야?”“증명할 수 없는 문제에요.”청년이 과자 상자에서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핵종까지 태워 없앨 수 있다(정확히는 독성이 낮은 핵종으로 바뀌는 과정으로, ‘핵
변환
’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초우라늄 핵종이 크게 줄어든다.루비아 교수는 “토륨 원전 폐기물의 독성은 약 500~600년 정도면 광산에서 석탄을 캘 때와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진다”고 밝히고 있다. 같은 기간 ... ...
신기한 광섬유 제작소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이 센서를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수소연료 자동차의 발전기나 컨버터의 전류
변환
장치에 사용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하고 있다. 측정할 수 있는 전압의 범위도 넓어 발전소와 변전소 설비의 고전압과 고전류를 측정하고 감시하는 데도 이용할 예정이다.광섬유센서는 홈네트워킹이나 유무선 ... ...
성격별 수학 학습법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열정적인 사람“칼국수를 먹으러 가다가 아주 맛있는 냉면집을 보면 바로 목적지
변환
이 가능한 유형!”•상황적 사고와 순발력이 뛰어난 의리파.•머리 회전이 빠르고 참을성이 없어 쉽게 지루해함.•논리적이거나 계획적인 학습을 불편해 함.수학학습 처방은?강의식 수업은 지루하게 여기고 ... ...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적당하다고 늘 생각했어.”“무슨 말씀을 하시는 겁니까? 우리가 빛보다 빠른 입자로
변환
되면, 2분 뒤가 아니라 과거로 가게 될 겁니다.”“왜?”조수는 종이를 꺼내 끄적거리며 도표를 그렸다.“이 도표(➊)에서 X축을 시간이라고 하고, Y축을 공간이라고 생각해 보세요. 제 자리에 가만히 있는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것이 아니었다. 당초 목적은 뮤온 중성미자가 타우 중성미자로 바뀌는 중성미자
변환
현상을 확인하려는 것이었다. 이 실험을 진행하던 중 빛의 속도를 측정하게 된 계기는 미국 시카고의 페르미연구소에서 주도한 미노스(MINOS)라는 실험 때문이었다. 미노스 실험은 오페라와 비슷한 거리에서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