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오늘날의 새는 날개 끝의 깃털이 가장 길다. 안키오르니스의 경우 날개 끝이 아닌 앞발목 부위의 깃털이 가장 길다. 어정쩡한 모양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안키오르니스가 비행이 아닌 활공만 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진정한 비행은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깃털과 마찬가지로 비행 능력 또한 새가 아닌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동물의 얼굴을 똑바로 인식할 수 있도록 사람이 수동으로 왼쪽과 오른쪽 눈, 턱의 세 부위를 지정해 줘야 하는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는 얼굴 감지도 자동화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제인 교수는 “타마린, 마모셋 원숭이 등 영장류뿐만 아니라 사자 등 사냥과 삼림 파괴로 멸종위기에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어떤 첨단 항공기도 새에 못 미치고 있다. 특히 새는 순간적인 상황에 따라 깃털을 부위별로 세밀하게 조절하며 비행한다. 과학자들은 ‘완벽한 항공기’인 새를 모방하기 위해 새의 비행 방식과 날개, 깃털을 분석하는 생체모방 연구를 하고 있다. 시속 320km 송골매, 비행 제어 비결은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카테터가 딱 그 모양이다. 사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하고 기다란 카테터는 수술 부위를 파고들거나 빠져나갈 수 있으며,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도 있다. 닥터 허준을 사용하면 손으로 직접 조작할 필요 없이 조이스틱만으로도 카테터을 정밀하게 조종할 수 있는 것이다. 수술 장비에서 떨어져 ... ...
- [과학뉴스] 눈병 고치는 초소형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깊숙한 곳까지 도달할 수 있다. 외부에서 자기장을 이용해 조종할 수도 있어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그동안 황반변성이나 당뇨망막병증 등 안과질환을 치료할 때는 안약을 이용하거나 주사를 통해 안구 내부에 직접 약물을 투여했다. 하지만 안약은 안구 내부까지 약물을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화려한 몸 색깔은 생존에 오히려 해가 된다. 천적의 눈에 쉽게 띄기 때문이다. 신체 부위마다, 그리고 깃털의 영역마다 각기 다른 멜라닌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에너지도 많이 소모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가 구조색을 띠게 된 이유로 현재 학계에서 가장 지지받는 가설은 바로 구애다. ... ...
- Part 3. 참고래, 골격표본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부위는 뼈와 비슷한 질감의 플라스틱이나 에폭시 소재를 붙여서 고쳐요. 그럼 파손된 부위가 더 커지지 않도록 막고, 단단함을 유지할 수 있지요. 뼈를 맞춰라!마지막 과정은 뼈를 모양에 맞게 조립하는 거예요. 뼈에 미세한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철사를 꽂아 다른 뼈와 연결하지요. 과학관에 ... ...
- [TECH]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터치 오류다. 베젤이 줄어들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손에 쥐었을 때 화면에 닿는 부위가 넓어 터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 본부장은 “사용자 알고리즘 등 소프트웨어를 개선해 어느 정도 문제를 줄일 수 있다”며 “삼성, 애플, 구글 등이 제공하는 인공지능(AI) 음성인식 서비스도 이를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받았다. 기자가 받은 테이핑 사진을 본 한 교수는 “키네시오 테이핑을 한 뒤 발목 부위에 스포츠 테이핑을 섞어 안정성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STEP 3. 운동 상태 알려주는 스마트폰 처음 목표는 단 하나, 완주였다.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포기만 하지 말자는 것이었다. 그런데 대회 직전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그 중 하나가 암조직의 이질성(heterogeneity)입니다(오른쪽 아래 사진). 한 사람의 동일한 부위에서 채취한 암조직이라고 해도 암세포들이 모두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 게 아니거든요. 모양만 다른 게 아니라 세포마다 발현하는 유전자들도 제각각입니다.doi:10.1038/nbt.2038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암세포가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