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롤링수톤] 머릿속 맴도는 수능금지곡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영국 레딩대학교 연구팀은 껌을 씹는 걸 추천합니다. 음악을 듣고 기억하는 뇌의
부위
는 청각뿐 아니라 말하기를 담당하는 곳과도 연관돼 있기 때문에 껌을 씹으면 귀벌레 현상을 만들지 못한다는 것이지요. 지금 이 순간 원인을 찾기보다는 공부에 몰입해 보세요 ... ...
[과학뉴스] 어린이 사시약시, 뇌 발달 저해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차우 연구원은 “사시약시가 뇌에서 집중력과 연관된
부위
의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는 뜻”이라며 “사시약시와 부동시약시를 각각 치료하는 방법이 달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안과학분야 학술지 ‘IOVS’ 9월호에 게재됐다. doi:10.1167/iovs.18-2523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먹기 위해 닭을 기르지 않아도 될 것이다. 대신 우리는 적절한 조건에서 닭의 한
부위
만 별도로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배양육은 현재의 육류 소비의 문제점과 미래의 식량 부족에 대한 우려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우선 생명을 죽이지 않아도 될 뿐만 ... ...
[과학뉴스] 짜잔! 2D 영상이 3D 모션 조각으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이끈 시우밍 장 박사과정 연구원은 “자신의 움직임을 모션 조각상으로 본떠 어느
부위
를 어떻게 향상시켜야 할지 알 수 있다”며 “특히 운동선수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10월 14~17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저인터페이스소프트웨어기술(UIST)’ 국제학술대회에서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줘 심박동을 다시 정상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장치를 체내에 삽입하면 가슴
부위
가 볼록 튀어 나올 만큼 크다. 한번 삽입하면 유선으로 충전할 수 없는 탓에 기기의 절반을 차지할 만큼 큰 배터리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또 7~10년마다 배터리가 다 닳으면 기기를 교체해야 하는데, 이때 기기와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해 우리가 원하는 파지를 생산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외피단백질 중 원하는
부위
에 단백질이 발현하도록 만들기가 용이하다. 일반적으로 박테리오파지와 세균이 결합하는
부위
(PⅢ 단백질)에 표지되도록 만드는데, 바이러스 표면에 표지되는 양이 적어 결합력이 강한 항체를 선별하는 데 특히 ... ...
[시사기획] 땅이 가라 앉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경우에는 앵커링이 아닌 ‘네일링’이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네일링이란 굴착한
부위
곳곳에 말뚝을 박아 지반의 무게를 분산하는 방식을 말한다. 상도유치원 현장의 경우 굴착한 옹벽 표면에 4m 길이의 말뚝을 박은 뒤 시멘트로 덮는 네일링이 진행됐다.백 단장은 “지반 조사가 제대로 ...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자란 어른 쥐를 넣었다. 쥐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때 채널로돕신으로 표시한
부위
에 푸른빛을 쪼이자, 평온했던 쥐가 전기 자극을 가하지 않았는데도 공포 반응을 보였다(위 그림 3). 뉴런을 직접 자극함으로써 유아기 때 형성됐던 기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즉, 유아기 기억이 여전히 ... ...
Part 2. 범인의 숨통을 조이는 수학 공식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발굴할 때는 사체가 온전하게 보전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가장 많이 발견된
부위
를 기준으로 최소 개체수를 계산해 전체 피해자 규모를 추정합니다. 예를 들어 왼쪽 허벅지 뼈가 4점, 오른쪽 허벅지 뼈가 7점 나왔다면 아무리 적어도 그 자리에 7구의 시신이 있었다고 볼 수 있죠. 이를 좀 ... ...
[Culture] 성형수술에 관한 궁금증 6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사회적 풍토가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자신의 외모에 불만을 느끼고 세부
부위
에 집착하는 증상을 보이는 신체이형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성형수술을 반복해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 전 교수는 “성형수술을 받으러 오는 사람 중 일부는 심리적인 문제가 원인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