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식
감식
구별
차별
인종차별
남녀 차별
이해
d라이브러리
"
식별
"(으)로 총 52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눈의 기능을 하나의 칩에 구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것이다. 신경회로를 가지는 이 생체눈은 포커스가 맞춰진 목표물을 주변의 물체와
식별
하는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가까운 장래에 생체눈의 개발이 완료될 것 같지는 않지만, 연구자들은 "아름다움은 주목하는 자의 눈에 띄게 된다"는 생각을 갖고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생체눈 등 생체기관을 ... ...
스펙트럼으로 본 악기의 소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사용해야 한다. 우리 인간은 각자 자기 특유의 성문(声門)을 갖고 있기 때문에 화자
식별
또는 인식을 위해서는 이 특징만 추출하면 된다. 미국 등의 나라에서는 지문대신에 성문을 사용한다고 한다. 협박전화를 하는 범인색출에도 응용되지만 컴퓨터를 아주 소형화시키면 열쇠 대신 음성을 사용하게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뒷면에 자리잡고 있다. 바다 분지는 충돌로 인하여 용융된 용암이 채워져서 생긴 것이다.
식별
이 잘 안될 정도로 오래된 크레이터나 용암에 잠겨 겨우 형태만 알아 볼 수 있는 크레이터가 이것을 증명해 주고 있다. 그 중에서 '폭풍우의 대양'이라 불리우는 바다가 가장 크다. 그 넓이는 약 3백2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돋보인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다. 또 모니터의 해상도는 인체조직의 미세한 차이를
식별
할 정도로 뛰어나다고 한다. 무게도 가벼워서(1㎏ 이하)그것을 머리에 부착한 의사에게 부담이 거의 없다. 밀렵 방지용 전자송수신장치 -코뿔소의 뿔에 장치, 24시간 감시멸종위기동물인 아프리카의 ... ...
① 말은 동물의 소리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수 있고 또 그것을 들으면 즉각 이해할 수 있는 능력뿐만 아니라 잘못된 문장을 곧
식별
할 수 있는 능력이 포함돼 있다. 이것이 곧 잠재적인 언어능력이다.다시 말하면 인간에게는 모국어를 자유로이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 이 능력은 추상적인 것이며 구체적인 언어활동의 배후에서 그것을 ... ...
무인 자동차의「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상당하는 고속으로 주행할 수 있고 앞에 나타난 장애물을 감지하며 도로변의 신호등도
식별
해낸다.일본은 도요타(Toyota) 마쓰다(Mazda)등 유명 자동차회사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각기 진행되고 있으며 시험주행의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최근에는 일본 NEC에서 PVS(Personal Vehicle System)라고 명명한 차량을 ... ...
색채과학의 르네상스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언제나 푸르게 보인다. 그러나 그 차의 색깔이 눈에 익지 않은 사람에게는 진짜 색을
식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느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색의 항상성도 언제나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불고기를 푸른 빛 아래서 보면 아무리 그걸 먹고 싶었던 사람이라도 그 순간 입맛이 싹 가실 것이다. ... ...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경우가 많다. 약0.01ppm의 수중농도에 노출된 조개는 사람의 후각으로 기름냄새를
식별
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으로는 사용할 수가 없다. 우리나라와 같이 연안의 양식장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유출된 기름이 연안을 덮치게 되던 수십억원 이상의 피해를 입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특히 개펄이나 습지는 ... ...
4 자원으로서의 흙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새로이 만들어진다.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은 대체로 그 입자의 크기가 맨눈으로
식별
할 수 있을 정도로 큰것과는 반대로 이것들이 풍화되어 만들어지는 새 광물들은 그 입자의 크기가 너무나 작아서 전자현미경으로만 개개의 입자를 관찰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이러한 극미립(보통 0.002㎜ 이하)의 ... ...
새 생명의 요람, 겨울눈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관속흔(管束痕)이라고 한다. 관속흔의 수는 1~30개이며 관속흔의 수와 배열은 식물을
식별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두릅나무 종류가 관속흔이 가장 많으며 그 모양도 뚜렷하고 어떤 나무는 관속흔이 있는 둥 마는 둥 한 것도 있다.줄기 표면에 있는 불규칙한 점을 피목(皮目)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