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식
감식
구별
차별
인종차별
남녀 차별
이해
d라이브러리
"
식별
"(으)로 총 528건 검색되었습니다.
명령어와 파일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줄임), 편지파일에는 .LET 등과 같은 확장자를 붙여놓으면 파일 종류를 확장자로 쉽게
식별
할 수 있다. 이와같이 파일에 관련되는 이름 또는 확장자를 지정하면 동일한 그룹의 파일들을 대표 문자를 사용해서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파일이 많다보면 여러 개의 파일을 대상으로 한꺼번에 ... ...
2만4천년 전의 크로마뇽인 시대 임신부 유해 발굴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상태로 보였다. 그녀는 지신의 배 위에 한 손을 얹어놓고 있었다.발굴팀은 그녀의 유골을
식별
하기 위해 유골 주위의 흙과 돌들을 즉시 깨끗이 치웠다.그녀의 유해는 신을 숭배하는 지대안의 동굴 깊숙한 곳에서 발견됐다. 다른 뼈들은 50cm쯤 떨어진 곳에서 발굴됐는데, 석회석에 응고돼 마치 으깨진 ... ...
규슈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다양하다.필자는 겨울, 여름 2회 방문했으나 불행히도 안개가 뒤덮여 있어 10m 전방을
식별
하기 곤란할 정도였다. 이러한 연유에서 기리시마(霧島 : 안개 섬)라고 불리는 듯하다.가고시마(鹿兒島)는 사쓰마 번(薩摩藩)의 본고장으로서 일본에서 정계와 재계의 인물을 많이 배출한 곳으로 유명하다.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장치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돼지들의 꼬리에 전자꼬리표를 달아야 한다. 각각의 돼지들을
식별
하기 위해서다. 실소연구소는 일단 돼지의 크기를 체중과 연결시키는 산출법을 개발해 냈으나 곧 이어서 다른 가축들의 체중계산에도 이 장치를 활용 할 계획이라고 한다. 아무튼 이 묘한 장치는 체중측정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감지하고, 신경계를 통하여 뇌에 전달하고, 뇌에서는 연산 및 비연산기능으로 이를
식별
하고 이에 대응하게 된다. 그러면 뇌세포에 해당하는 소자는 만들 수 없는가.미국인 맥글레어가 이 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소자를 몰톤(moleton)이라 명명했다. 몰톤은 기존 전자공학의 반도체소자보다도 1억 ... ...
(1) 마이컴 100% 활용 지름길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소프트웨어는 공개소프트웨어와 프리웨어 뿐이다. 동호회 자료실이 편리 이들 제품을
식별
하려면 사용설명서나 초기화면을 자세히 살펴보면 쉽게 알 수 있다.공개소프트웨어는 모든 권리를 포기한다는 문구를 명시하고 있으며 대부분 다른사람이 이용할 수 있도록 소스코드까지 함께 제공하고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그러나 직접 보니까 잘 모르겠더라구요. 뚜렷한 특징이 있는 식물들은 그런대로
식별
이 가능 했으나 식물도감만 갖고는 도저히 구분하기 어려운 식물들이 더 많았습니다.이재수…저도 분류는 늘 자신없는 분야였습니다. 이번에 모처럼 식물 도감을 열심히 찾고 이름도 외워 보았지만 앞으로 공부를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조언자로서 전문가시스템, 게임용 소프트웨어, 기계번역, 각종 문자나 물체를
식별
해내는 인식시스템, 이를 로봇과 결합시킨 지능형 로봇 등이다. 그리고 최근 들어 각광받고 있는 각종 퍼지 상품도 넓은 의미로 이 범주에 넣을 수 있다.전문가 시스템 : 인간의 지혜를 가진 충실한 조언자 인간 ... ...
오늘날의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까닭에 현재는 그 이용도가 미미한 형편이다. 우리는 우리의 눈과 두뇌가 어떻게 물체를
식별
하는 지는 모르지만 우리인체는 그 일에 매우 빠를 뿐더러 최소의 단서들만으로도 놀랄만한 정확성을 발휘한다. 어떤 사람 머리의 조그마한 한부분만 보고서도 누구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이 우리 인간인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사물을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를 세고 물체와 색깔과 모양을 정확하게
식별
해 낼 수 있다.공룡은 새로 진화하여 익룡과 같이 날아다니는 파충류보다 잘 날게 되면서 공중의 생활에 익숙하고자 많은 몸무게의 희생을 감수해야만 했다. 날아다니는 동물들은 두뇌를 영장류의 크기만큼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