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그노벨상] 단세포 생물에게 노선 설계 맡겼더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 편집자 주 이그노벨상. 괴짜들의 노벨상이라 불리며 “다시 할 수도 없고 다시 해서도 안되는 업적”에 수여되는 상으로 불립니다. ... 우리의 이해를 바꾸고 있다. *용어 정리모델 생물(model organism) : 초파리나 대장균, 예쁜꼬마선충처럼 생물학 연구를 위해 특별히 쓰이는 생물들 ... ...
- 세 번째 질문 I 우리는 진정으로 무한을 아는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받아들였지요. 수학자들 사이에서도 무한의 정의에 관해서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해요. 예를 들면 ‘자연수 집합과 실수 집합의 중간 크기인 무한 집합이 있을까’ 같은 질문을 하지요. ‘연속체 가설’이라고 알려진 문제인데요. 근데 아주 신기하게도 ‘현재의 수학 체계에서는 이 명제가 참인지 ... ...
- [과학사] 1834년 2월 8일 주기율표 발견한 멘델레예프의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만들어낼지, 그리고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을지 예측할 수 있게 해줬어요. 멘델레예프는 주기율표 외에도 기체의 압력과 부피에 관한 연구와 액체의 열팽창에 관한 연구 등을 진행하며 화학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이랍니다 ... ...
- [우주탐험대] 매리너 2호 / 금성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일정한 간격으로 되풀이해서 도는 것을 말해요.대기: 천체를 둘러싸고 있는 기체(공기)예요.온실효과: 태양으로부터 온 빛이 대기층에 갇혀 나가지 못하고 표면 온도를 높이는 걸 말해요.표면: 사물의 가장 바깥쪽,겉 부분이에요 ... ...
- [이달의 뉴스] 튀르키예 대지진 3개 대륙판 충돌로 피해 규모 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발생했다. 본진 발생 후 2월 12일까지 규모 4가 넘는 여진만 약 200차례 기록됐다. 튀르키예는 지질학적으로 아나톨리아판 위에 놓여있다. 이를 중심으로 남쪽에서는 아프리카판과 아라비아판이 올라오고 북쪽에서는 유라시아판이 내려와 지진이 잦다. 특히 이번 지진이 발생한 가지안테프는 ...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기술 ‘엔맵(NMAP)’을 발표했다. 인터넷 사용자들의 네트워크 요청을 빠르게 파악하고 예측해 그에 맞게 서버 프로세서의 전압과 주파수를 조절하는 식이다. 앞으로 더 중요해질 디지털 탄소발자국 정 교수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은 결코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사실 디지털 ... ...
- [이그노벨상] 웃기려고 한 연구 아닙니다 3화. 성공에 더 필요한 건 운일까 재능일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예다. 투자자 한 명 한 명의 행동을 예측하기는 쉽지만, 이들이 모여 상호작용하면 전혀 예측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복잡계의 특징이다. 그러니 멀쩡하던 주식이 이유 없이 폭등하거나 폭락하는 것처럼 보인다. e메일 인터뷰에서 플루치노 교수는 “보행자의 행동에서 눈사태에 ... ...
-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문제는 수학자가 푸는 문제처럼 출제자도 답을 모르는 미해결 문제예요.폴리매스 홈페이지 → [폴리매스 문제] 게시판에서 댓글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며 혼자서는 풀기 어려운 문제를 회원들과 함께 풀어 보세요 . 폴리매스 문제의 규칙을 잘 지키며 문제를 풀면 국내 최고 수학자에게 수학 및 ... ...
- [메타버스 여행법] 제페토 월드에서 영상 찍어봤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촬영한 영상처럼 보이는 가장 쉽고 간단한 방법은 내 아바타를 여유롭게 걷게 만드는 거예요. 6세로 모드로, 인물은 아래에서! 월드는 기본적으로 가로 모드로 설정돼 있지만, 세로로 설정을 바꿀 수도 있어요. 초보자라면 배경이 넓게 찍혀서 여백이 많아지는 가로 모드보다 세로 모드로 ...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17일, 인류세실무연구단의 의장과 서기를 각각 맡고 있는 콜린 워터스 영국 레스터대 명예교수와 사이먼 터너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교수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인류세의 기준이 될 GSSP를 뽑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 밝혔다.doi: 10.1126/science.ade2310 약 13년에 걸친 인류세 선정 작업이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