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아이디어
의견
이념
착상
구상
뉴스
"
착안
"(으)로 총 567건 검색되었습니다.
원하는 단백질만 낚아내는 ‘단백질 낚시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02
성공했다. 사하(SAHA) 약물이 탈아세틸화효소와 상호작용하며 병을 치료한다는 점에
착안
, 낚싯대 역할을 하는 쿠커비투릴 속에 사하약물을 넣어 미끼로 사용했다. 탈아세틸화효소가 사하약물과 결합하면 쿠커비투릴 수용체가 탈아세틸화 효소를 농축한다. 이렇게 농축된 상태의 ... ...
전세계 30채 초호화 ‘수퍼하우스’ 등장
팝뉴스
l
2017.02.23
대표 마누스 스트룀은 수퍼 요트 설계 작업에 참여했던 경험으로 이 수퍼하우스 컨셉을
착안
하게 되었다며 초호화를 지향하는만큼 주택의 기능적인 역할 뿐 아니라 의뢰인의 라이프 스타일을 가이드하는 주택 디자인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언론을 통해 공개된 수퍼하우스 1호 디자인은 ... ...
자폐증도 조기진단할 수 있는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16
추적 조사했다. 자폐증 가족력이 있는 유아 5명 중 1명이 자폐증에 걸린다는 점에
착안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세 유아의 뇌 표면적은 1세 때의 성장 정도와 비례한다. 하지만 자폐증에 걸린 유아의 경우 2세 때 뇌 표면적이 급격하게 성장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진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유아의 ... ...
알츠하이머병 쉽게 진단할 뇌 영상 기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8
다른 자기적 특성을 갖고 있어 MRI 장비로 촬영한 영상에도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착안
했다. 철분은 외부에 자기장이 있을 때 자기장과 같은 방향으로 자성을 띠는 상자성을 갖는 반면, 지질은 자기장과 반대 방향으로 자성을 띠는 반자성을 갖는다. 연구진은 뇌 영상 자료에 나타난 자기적 ... ...
재래종 ‘차조기’ 개량해 관절염 치료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07
보호한다는 연구결과를 학술지 ‘농업 및 식품화학 저널’에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착안
, 연구진은 차조기에 방사선을 쬐여 이소에고마케톤 성분을 10배 늘어나게 한 신품종 ‘안티스페릴’을 개발했다. 식물에 방사선을 쬐여 유전자나 염색체 돌연변이를 일으켜 우수한 형질을 갖는 새로운 ... ...
휘어지는 기판에도 철썩...잘 달라붙는 투명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07
플래시광의 자외선이 은 나노와이어가 교차하는 지점에서만 강한 열을 낸다는 점에
착안
, 와이어가 중첩된 부분을 녹여 하나의 그물망처럼 연결했다. 상용화의 걸림돌이 됐던 높은 저항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렇게 제작한 전극의 저항은 5Ω/sq(옴스퀘어)로 전류가 통하는 정도가 기존보다 6배 이상 ... ...
사라진 전통 코팅제 ‘명유’, 현대과학으로 재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명유를 끓이며 저어주는 과정이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에
착안
해 99.9%의 순수한 산소를 투입하며 섭씨 80~120도의 고온에서 끓여 촉매 없이 명유를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전통 문물을 복원하면서도 현대 과학의 힘을 더해 친환경적으로 ‘업그레이드’한 것이다. 촉매가 ... ...
연꽃잎 닮은 오염물질 검출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1.19
센서가 오염돼 점차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게 문제다. 연구진은 연꽃잎의 구조에
착안
, 구리 표면 위에 나뭇가지 모양의 은 나노 구조를 쌓아올린 모양의 센서를 개발했다. 이 센서의 표면에서 액체는 표면에 흡수되지 않고 방울 모양을 그대로 유지한 채 흘러간다. 연구진이 설계한 방향으로만 ... ...
눈물 한 방울만 있으면 통풍검사 한 번에 OK
동아사이언스
l
2017.01.17
사진 - KAIST 제공 연구진은 사람의 눈물 속에도 요산이 섞여 나온다는 사실에
착안
했다. 얇은 종이 표면에 금 나노입자를 덮어 새로운 검사지를 만들었다. 이 검사지에 눈물을 묻혀 빛을 쪼인 다음, 분광장비로 확인하면 손쉽게 요산 농도를 알 수 있다. 검사 정확도는 혈액검사와 큰 차이가 없었다. ... ...
암 전이 조절하는 유전자 23개 새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7.01.12
알려진 유전자였다. 이중 ‘Spns2’라는 유전자가 가장 큰 변화를 일으킨다는 점에
착안
연구진은 Spns2 유전자를 제거한 돌연변이 피부암 생쥐를 이용해 실험을 계속했다. 그 결과 Spns2을 제거하면 피부에 있던 종양이 폐로 퍼지는 확률이 4배 감소함을 확인했다. 폐뿐 아니라 Spns2의 발현을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