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아이디어
의견
이념
착상
구상
뉴스
"
착안
"(으)로 총 567건 검색되었습니다.
후천적 비만의 원인, 단초 밝혔다
과학동아
l
2016.05.24
약학과 교수팀은 S6K1이 결핍된 쥐가 일반 쥐보다 지방조직이 절반가량 적다는 데
착안
해 S6K1의 새로운 역할을 연구하던 중, S6K1이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wnt’ 유전자를 메틸화해 발현을 막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wnt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면 지방세포 수가 늘어나 비만으로 이어진다. 이 ... ...
건물이 살짝 기울어졌네? 미세한 변화 감지하는 압력센서 개발
2016.05.24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레이저가 하나의 파장(색)만을 갖는다는 점에
착안
해 압력센서를 개발했다. 레이저는 내부의 격자 구조에 따라 색이 결정되는데, 유연한 기판에 압력을 가하면 격자 구조가 달라지고 파장 역시 바뀐다는 원리를 이용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 레이저의 색 ... ...
햇빛만 받으면 충전 완료, 피부 밑에 넣는 태양전지 개발
2016.05.17
시간이 지나면 재수술을 통해 바꿔줘야 한다. 연구진은 빛이 피부를 통과한다는 점에
착안
해 인체 내로 흡수된 빛을 태양전지를 통해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기는 인체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기 때문에 외부의 균이 침입해 염증을 일으킬 위험도 적다. 두께는 6~7㎛ ... ...
[청년드림]“휴대용 태양광 충전기로 세상 좀 놀라게 했죠”
동아일보
l
2016.04.20
” 기존 휴대용 태양광 충전기들이 실제로는 핵심 기능인 ‘휴대’가 쉽지 않다는 점에
착안
했다. 무거운 데다 부피마저 커서 커다란 배낭에 매달고 다녀야 하는 제품이 많았다. 장 대표는 필요한 전력량에 따라 태양광 패널 수를 손쉽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이른바 ‘똑딱이식’ 디자인을 ... ...
[박경모 전문기자의 Close-Up]3600m에서 점프, 2분간 나는 새가 된다
동아일보
l
2016.04.02
금지됐다. 현대적인 윙슈트가 팔리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부터. 날다람쥐의 모습에서
착안
해 팔과 몸통, 두 다리 사이에 낙하산용 천을 붙여 만든 ‘날개옷’이었다. 윙슈트 점프는 스카이다이빙 200회 이상의 경력과 윙슈트 교육과정을 수료해야 한다. 스카이다이빙은 18세 이상이고 심장질환만 ... ...
암 혈관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항암제 개발
2016.03.30
결과 폐암환자의 조직에서만 도펠 단백질이 발현돼 형광으로 빛났다. 이런 점에
착안
한 연구팀은 암 혈관에만 작용하고 다른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항암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혈액 응고 억제제로거 사용되는 약물인 헤파린을 변형시켜 도펠 단백질의 작용을 ... ...
제주 해조류 ‘감태’에서 아토피 치료법 찾았다
2016.03.30
피부염이 특정 면역반응의 균형이 깨지면서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이라는 점에
착안
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초기에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정보전달 물질인 ‘흉선 기질상 림포포이에틴(TSLP)’이 피부각질세포에서 증가하고 이로 인해 면역반응의 균형이 깨진다. 그 결과 염증이 계속 ... ...
‘칩 위의 실험실’ 더 정밀해졌다
2016.03.28
과정을 거쳐야 했다. 로봇공학 전문인 연구진은 미세유체가 전류처럼 흐른다는 점에
착안
해 오차 값 보정과 유체의 흐름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설계했다. 실험자가 일일이 제어하지 않고도 자동화된 덕분에 안정성과 정밀도가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진은 칩 속 여러 ... ...
[배트맨 VS 슈퍼맨] 배트맨과 슈퍼맨, 이것이 다르다!
2016.03.25
오로지 고담 시 만이 그의 삶의 터전이며, 수호의 대상입니다. 박쥐를 모티브로
착안
해낸 배트맨은 박쥐의 성격처럼 밤에 주로 활동합니다. 밤의 도시 고담은 악의 온상입니다. 부패한 경찰과 강도, 갱들을 항상 감시하며 적절한 시기에 그들과 정면 대결합니다. 고담의 경찰 서장 고든은 항상 ... ...
근육 키우고 줄이는 유전자 발견
2016.03.23
과정에서 인지질의 일종인 ‘포스파티딜세린’이 세포융합에 작용한다는 이전 연구에
착안
해 실제 근육세포를 융합시키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근육세포의 융합 과정에서 포스파티딜세린의 수용체 중 ‘스태빌린-2’ 유전자의 발현량이 급격하게 늘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실제로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