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아이디어
의견
이념
착상
구상
뉴스
"
착안
"(으)로 총 567건 검색되었습니다.
필터 하나로 여러 색 한번에, 디스플레이용 컬러필터 개발
2015.08.25
표면에 전하를 띠는 물체) 사이의 경계면에서 파장별로 투과율이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
해 색 조절이 가능한 컬러필터를 개발했다. 유리 기판 위에 알루미늄 나노선을 배열하고 그 위에 다시 유리 기판을 올린 형태다. 이 필터로 실험한 결과 알루미늄 나노선을 배열하는 간격과 입사시키는 빛의 ... ...
남극 해저 2km 중앙해령에서 열수 분출구 새로 발견
2015.08.22
자욱이 낀 상태처럼 변한다. 연구진은 김승옥 작가의 단편 소설 ‘무진기행’에서
착안
해 이번에 발견한 열수 분출구 이름을 ‘안개 낀 항구’를 뜻하는 ‘무진(霧津)’으로 명명했다. 열수에는 망간(Mn), 철(Fe), 이산화탄소 같은 다양한 금속 원소들이 포함돼 있다. 박숭현 연구원은 “미생물들은 ... ...
과학 소재로 전 세계 오지 탐험하는 괴짜 예술가
2015.08.21
맞춰 설치한 것이다. 작품명은 ‘멈춰진 시간’. 탄소가 생명 탄생에 필수라는 점에
착안
해 목탄을 주 소재로 수억 년 전 암석과 운석, 고래 등을 담담히 표현했다. 멈춰진 시간을 그린 건 설치 및 영상미술 작가인 릴릴(본명 강소영) 씨. 릴릴 씨는 국내 과학계에서 ‘과학전문 작가’로 불린다. 지구 ... ...
은나노 와이어로 분자 단위 유해물질 잡아낸다
2015.08.19
단점이 있다. 연구진은 나노구조 사이에 생긴 공간에 빛이 들어오면 증폭된다는 점에
착안
해 미세한 유해물질과 빛이 만날 때 생기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은나노 와이어 기판을 만들었다. 특히 이 기판은 은나노 와이어가 들어 있는 잉크를 필터에 걸러주는 방식으로 만들 수 있어 반도체 공정을 ... ...
‘만능 전자피부’가 나왔습니다
2015.07.17
전기를 저장하는 능력)이 압력은 물론 온도와 습도, 유기용매 등에 의해 변한다는 점에
착안
했다. 전기를 잘 흘려보내면서도 탄성이 좋은 탄소나노튜브로 필름을 만든 뒤 섬유 형태로 뽑아내 방충망처럼 가로세로로 섬유를 엮었다. 그리고 여기에 투명한 고무 재질 소재를 붙여 머리카락 3배 정도인 ... ...
입고 움직이면 방향까지 파악하는 똑똑한 센서
2015.07.14
생긴다. 주름과 수직 방향으로 발생한 변화에서만 전기전도도가 변한다는 사실에
착안
한 연구팀은 주름진 기판 2개를 서로 수직 방향으로 결합한 형태로 센서를 제작했다. 홍석준 박사는 “기존 센서가 손을 움켜쥐는 행동만 파악할 수 있었다면, 이번에 개발한 센서는 손이 움직이는 방향까지 ... ...
두께 0.25nm, 진짜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반도체
2015.06.26
데 성공했다. 그래핀과 질화붕소가 모두 벌집 모양의 육각형 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
착안
해 이 둘을 옆으로 이어 붙였다. 이 방식으로 반도체 회로의 기본 구조인 트랜지스터를 만들어 성능을 시험한 결과 기존 트랜지스터와 동일하게 작동했다. 안 교수는 “탄화규소 기판을 값싸게 대량 ... ...
상처 빨리 낫도록 돕는 새로운 치료제 후보물질 나왔다
2015.06.12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이 점에
착안
해 CXXC5와 디셰블드의 결합을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했다. 이 물질을 연고로 만들어 상처 난 쥐의 피부에 바르자 치유 기간이 10분의 1로 줄었다. 최 교수는 “윈트 신호체계를 방해하는 물질을 억제하는 ... ...
멍게 껍질로 시린 이 감쪽같이 코팅
2015.06.03
화합물로 물속에서도 강력한 접착력을 가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리고 이 원리에서
착안
해 철과 타닌을 화학결합시킨 치료제를 개발했다. 이 물질을 넣은 수용액을 시멘트질을 깎아낸 치아에 흘려보내자 5분 만에 시멘트질이 손상된 치아 표면이 완벽하게 코팅됐다. 특히 칼슘 성분이 들어 있는 ...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05.29
지진이 발생하는 순간 스마트폰의 GPS가 한꺼번에 한 방향으로 ‘휘청’인다는 점에
착안
했다. 한 대의 휴대전화가 움직이면 지진일 가능성이 없지만 수천 대의 휴대전화가 동시에 움직이면 지진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컴퓨터 모델링을 이용해 과거 지진 사례에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