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아이디어
의견
이념
착상
구상
뉴스
"
착안
"(으)로 총 567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시 보자, 하드웨어
동아일보
l
2014.07.16
04년 창업자 닉 우드먼이 ‘내 서핑 모습을 생생하게 기록하고 싶다’는 스스로의 욕구에
착안
해 설립한 고프로는 지난달 26일 나스닥에 상장해 4일 만에 주가가 103% 상승하는 대박을 쳤다. 15일 현재도 공모가(24달러)보다 약 54% 높은 37달러의 주가로 시가총액은 46억 달러(약 4조6920억 원)에 달한다. ... ...
주석 비켜, 구리 나노와이어 납시오
과학동아
l
2014.07.07
1m) 수준으로 뽑아내 그물망처럼 만들면 기존 투명전극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
했다. 과학계에서 구리 투명전극에 대한 관심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구리를 이렇게 가늘게 뽑으면 나노와이어끼리 접합하는 ‘열처리’ 과정에서 구리가 산화돼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 ...
고장난 신경세포 복구 단백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6.25
퇴화로 잘 걷지 못하게 되는 희귀 유전병을 일으키는 사례 등이 보고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
해 이 단백질체가 유전자 복구 이외에 또 다른 기능이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실험에 착수했다. 그 결과 ATM은 신경세포에서 텔로미어(염색체 말단)의 한쪽 나선의 손상을 인식하는 단백질인 ‘ATR’로부터 ... ...
물고기의 아가미 주름, 그냥 있는 게 아니었네
과학동아
l
2014.06.02
물고기의 아가미 주름이 개체 크기와는 무관하게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는 사실에
착안
해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제공 물고기 아가미의 덜도 말고 더도 아닌 ‘적당히 촘촘한’ 주름이 진화의 흔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김호영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와 김원정 ... ...
비싼 백금은 가라…저비용 망간 촉매로 수소 제조
과학동아
l
2014.05.14
비싸고 제조 공정이 까다로워 상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연구팀은 이 점에
착안
해 기존 백금이나 희소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망간포스페이트’라는 물질을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합성한 물질은 기존의 어떤 수소생산용 촉매보다 성능이 뛰어났다. 망간포스페이트 ... ...
1km 떨어진 가습기와 에어컨이 서로 대화를?
과학동아
l
2014.04.24
전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혼선이 심한 게 단점이었다. ETRI 연구팀은 이 점에
착안
해 TV 유휴 주파수 대역인 470~698MHz주파수를 이용하는 새로운 무선통신 기술을 개발했다. 실험 결과 혼선이 거의 없으며 최대 통신거리가 1km까지 늘어났다. 이 기술은 지그비 못지 않게 소형 ... ...
1000번 접었다 펴도 멀쩡한 메모리 소자
과학동아
l
2014.04.21
어려웠다. 연구진은 껌을 싸는 포장지가 종이 위에 금속을 입힌 방식이라는 점에
착안
해 강유전체 고분자 물질에 반도체 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강유전체는 외부에서 전기장을 가하지 않아도 양극과 음극 상태를 유지하는 물질인데, 그 위에 유기물 반도체 물질을 입혔더니 유연할 ... ...
약물 중독은 뇌질환이다
과학동아
l
2014.04.20
제너는 ‘천연두에 걸린 소의 젖을 짜는 여자는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다’는 속설에
착안
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천연두 백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 밖에도 저자는 인류 역사를 이끈 획기적인 발견을 해부학, 질병 유발 인자, 인간 게놈 프로젝트, 핵 과학 등 10개의 과학 주제로 구분해 소개했다 ... ...
조류독감 검출 2분만에 '뚝딱'
과학동아
l
2014.04.13
형광 효율을 높이고 자성을 띠도록 설계한 복합입자의 표면에 센서를 구현하기로
착안
했다. 기존 자성나노입자와 형광나노입자를 결합한 복합입자는 자성입자가 빛을 흡수하는 성질 때문에 형광 특성이 약한 게 문제였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교 역할을 하는 실리카 마이크로입자 ... ...
노화 막고 암도 잡고? 전천후 단백질 등장
과학동아
l
2014.04.09
단백질인 SIRT가 활성화돼 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된다는 얘기다. 연구팀은 이 점에
착안
해 새로운 항암후보물질을 제안했다. NAD를 체내에서 직접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합성약물 'MB12662'를 인체자궁경부암이 있는 생쥐에게 투여하자 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된 것을 확인했다. 권 교수는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