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뉴스
"
투과
"(으)로 총 579건 검색되었습니다.
난치성 피부질환 ‘건선’ 치료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7
중 하나다. KAISt 연구진dl 개발한 펩타이드 나노복합체의 건선 치료효과. 피부를
투과
기능이 높아 뛰어난 치료효과를 발휘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 KAIST 제공 최근 연구 결과 건선 발병에는 몸 속 ‘STAT3’라는 단백질이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 사실에 주목해 수년 ... ...
과학기자의 티베트 현지 고산증 체험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7.10
계속되기도 한다. 인간 혈액의 산소포화도는 손가락 끝에 측정장치를 붙이고, 빛의
투과
율 등으로 환산해 쉽게 검사할 수 있다. 100%를 기준으로 95 이하로 떨어지지는 일은 거의 없으며, 90 근처로만 떨어져도 호흡기를 포함한 순환계에 문제가 있다고 여긴다. 현지 의료진이 호텔에 도착해 거의 ... ...
스마트폰 지문인식, 화면 어디를 눌러도 상관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4
50CPI을 크게 상회 하는 값이다. 또 연구팀은 이렇게 구성한 지문센서가 89%의 높은 박막
투과
도를 유지함을 확인했다. 스마트폰이나 디스플레이에서 나오는 약 1MHz의 고주파수 대역에서도 방해받지 않으며, 1V 이하의 낮은 전압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도 확인했다. 박장웅 교수는 “새로운 ... ...
수 미터 크기 유리기판 미세한 굴절 잡는다...표준연 두께 불량 검출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7.03
유리 기판에 빛을 보내 반사시키는 기존 반사식 간섭계 대신, 빛을 그대로 통과시키는
투과
식 간섭계 형태를 도입해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했다. 또 이 센서는 굴절률도 측정할 수 있어 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KRISS 진종한 책임연구원(오른쪽 첫번째) 연구팀이 대형 유리기판의 두께와 ... ...
양성자 쬐어 치매 원인물질 제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2
양성자만
투과
해 금속 성분의 독성을 제거하는 연구에 나섰다. 김종기 교수는 “
투과
성 양성자를 이용해 알츠하이머성 뇌의 신경독성 및 플라그‧매듭을 제거하는 기반 기술을 개발한 것”이라며 ”향후 생체모델을 이용해 세포 손상 경로와 노인반‧타우 매듭 제거에 따른 인지기능 회복 및 치료 ... ...
엘리베이터에 물결무늬 그리면, 전화 끊길 염려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20
자연계에 없는 특성을 지닌 물질이다. 변영재 교수는 “평면에 새긴 무늬로 전파를
투과
시킬 수 있는 메타 물질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사인곡선 무늬의 형태와 크기에 따른 정확한 주파수 범위를 연구하면 전파 손실을 줄이면서 금속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 ...
국내 연구진, ‘스텔스 잠수함’ 핵심소재 개발… 수중서 음파 그대로 통과시켜
동아사이언스
l
2018.06.20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음파를 통해서는 감지할 수 없는 셈이다. 이는 빛을 그대로
투과
시키는 투명망토와 유사한 원리다. 음향양자결정 메타물질(가운데 부분)에 음파를 쏜 시뮬레이션 결과. 물질을 통과한 지점부터 평면파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평면파는 파면의 모양이 직선으로 ... ...
음파 그대로 통과… ‘3D 음향투명망토’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가능 우리는 물체에 반사된 빛으로 물체를 본다. 어떤 물체가 빛을 반사시키지 않고
투과
시키면 투명하게 보인다. 이는 투명망토의 원리이기도 하다. 빛이 들지 않는 깜깜한 물속에서는 초음파 같은 음파를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소리를 통해 물체를 감지한다. 이런 가운데 최근 중국 연구진이 ... ...
하이퍼루프 실현할 미래 도시 인프라 무엇?...복층 터널, 콘크리트 튜브 등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18.05.31
열변형이 적다. 백종대 건설연 인프라안전연구본부 선임연구원은 “콘크리트 중 공기
투과
성이 없는 재료를 찾고 있는 중”이라며 “초고강도 섬유 보강 콘크리트(UHPC)나 폴리머 콘크리트 등 밀도가 높은 콘크리트를 중심으로 물이나 자갈 등의 배합을 달리하며 시험하고 있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자체가 병의 원인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며 “아직 확인 안 된 밀의 어떤 성분이 장벽의
투과
성을 높여 글루텐 같은 단백질이 안으로 들와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밀가루 음식 섭취로 사람들이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는 게 꾀병이 아니라는 데는 합의가 이뤄지고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