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3,990건 검색되었습니다.
FDA '패스트트랙' 거친 알츠하이머 약, 심각한 부작용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23.11.14
내부고발보고서를 작성한 연구원 중 한 명인 매튜 슈래그 미국 밴더빌트대 뇌신경
학자
는 NIH가 보고서를 검토한 후 임상시험을 중지시키고 즐로코비치 교수 연구팀이 제출한 모든 연구 논문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에 착수해야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현재 3K3A-APC에 대한 임상 3상을 앞두고 있다. ... ...
한국 과
학자
찾기 어려운 '홍콩수상자포럼' 첫 개최 현장
동아사이언스
l
2023.11.14
다양한 국가의 참석자를 초청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행사의 규모가 확대되면 한국 과
학자
들의 참석도 활성화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13일 '홍콩수상자포럼(HKLF)' 개막식이 열린 홍콩 사이언스파크. 홍콩=박정연 기자 hesse@donga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비판받으며 자란 아이, 자기 비난 키운다
2023.11.11
그런데 양육자가 자녀에게 가혹한 태도를 보이는 이유는 뭘까. 캐나다 요크대의 심리
학자
오렌 애미타이 등의 연구(Amitay et al., 2008)에 의하면 완벽주의적인 양육자가 그렇지 않은 양육자에 비해 자녀에게 차갑고 비판적인 모습을 보이는 편이라고 한다. 완벽주의는 ‘완벽’이라는 지나치게 높고 ... ...
'와그작' 탕후루 씹는 맛의 과학적 비밀
과학동아
l
2023.11.11
식감을 좋아하는 건 어쩌면 오래된 진화의 산물일지도 모릅니다. 존 앨런 신경문화인류
학자
는 저서 ‘미각의 지배’에서 포유류의 오랜 먹이가 곤충이었고 곤충이 바삭거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달콤하면서 바삭거리기도 하는 탕후루의 인기는 어쩌면 예견된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
의협, 의대정원 증원 주장 김윤 서울대 교수 징계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3.11.10
대한 국민 불신을 초래했다"며 징계를 추진하는 이유를 밝혔다. 이어 "의학을 연구하는
학자
로서의 자유로운 학문적 의견표명 수준을 넘어 의도적으로 의협 및 의사 회원 전체를 ‘집단이기주의’로 표현하고 의사 정원과 관련한 의협의 주장을 궤변으로 치부하는 등 의료계예서 의료법 및 의협 ... ...
100% 인공 생물체에 한걸음…합성 DNA 절반이상인 효모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1.09
교배해 얻은 자손을 얻고, 자손 가운데 합성 염색체를 가진 효모를 찾아냈다. 이는 유전
학자
그레고르 맨델이 완두를 이용한 교배 실험을 통해 유전 법칙을 찾아낸 것에서 기인했다. 이 과정을 반복한 결과 합성 염색체가 유입되는 큰 변화에도 불구하고 7.5개의 합성 염색체를 포함한 효모 ... ...
2년전 살충제 안듣는 외래종 '빈대' 첫 발견됐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08
한국에 일반 빈대(Cimex lectularius)가 아닌 외래종 빈대의 유입이 확인된 것은 1934년 일본인
학자
가 학계에 보고한 이후 89년만에 처음이었다. 채집된 반날개빈대는 현재 빈대 방역에 사용되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에 내성을 가진 것으로 분석됐다. 유전자증폭(PCR) 분석에서 전압민감성나트륨채널 ... ...
AI가 인류 위협 못하도록...28개국 ‘블레츨리 선언’ 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11.05
들어 학계에서는 불가능하다”며 현재 일부 기업들이 AI 역량을 쥐고 있는 가운데,
학자
들이 연구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유의미한 작업이라고 보았다. 미국은 이번 행정명령을 통해 AI 전문지식을 갖춘 이민자들이 미국에서 공부하고 일할 수 있도록 연방기관들이 지원할 ... ...
"온실가스 배출 감소만으로 기후변화 못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03
3일 ‘옥스퍼드 오픈 기후변화’에 발표다. 지구 온난화에 대한 초창기 연구자인 해양
학자
로저 레벨 박사는 산업화로 인류가 화석연료를 연소하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크게 증가했는 사실을 1965년 밝혀냈다. 지난 수백만 년 동안 나타난 적 없는 높은 수준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 ...
항생제 먹으면 감기 빨리 나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10.28
항생제를 처방받습니다. 최초의 항생제인 페니실린을 만든 건 1928년 영국의 생물
학자
알렉산더 플레밍이었어요. 실험하던 중 우연히 푸른곰팡이에서 페니실린이라는 화학물질을 발견했죠. 당시에는 종기 같은 아주 사소한 세균 감염으로도 사람들이 사망했는데 페니실린을 시작으로 다양한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