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3,990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두달간 휴가가도 문제되지 않는 '이곳'...수학의 도시 '프린스턴'
수학동아
l
2023.10.07
너무 많이 있어요.” 프린스턴대와 고등연구소를 짧지만 알차게 보고 돌아왔는데요. 수
학자
라면 왜 다들 프린스턴에서 연구하길 꿈꾸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간접적으로나마 프린스턴을 체험할 수 있었길 바랍니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10월호, 수학의 도시 프린스턴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뒷담화'의 사회적 순기능
2023.10.07
어떤 사회에서든 가십은 사람들이 가장 즐기는 사회적 스포츠 중 하나였다는 사실이다.
학자
들은 이러한 가십이 사실 매우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한다고 본다. 우선 한 가지는 평판을 수정하고 처벌하는 효과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에게 어떤 영향력을 휘두를 수 있어서 잘 보여야 하는 사람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처럼 실험에 서툴렀던 오펜하이머가 수많은 실험물리
학자
와 공
학자
들을 지휘하며 맨해튼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었다니 놀라운 일이다. 반수소를 만들고 물리 특성을 연구하는 알파 실험에는 현재 7개국 14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만일 오펜하이머가 반수소 프로젝트를 ... ...
[노벨상 2023] X레이의 DNA 파괴 순간 포착…'아토초' 시대 연 과
학자
들, 물리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3.10.03
실시한 실험에서 250 아토초 동안 빛의 파동을 유지하는 성과를 거뒀다. 헝가리 출신의 과
학자
인 크라우스 교수는 이보다 한걸음 더 나아가 650아토초 동안 지속되는 빛의 파동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실제 전자의 움직임을 추적해냈다. 전문가들은 이들의 연구를 통해 ‘아토초 과학’ 시대가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에 '100경분의 1초' 아토초 펄스광 고안한 과
학자
3인 (2보)
동아사이언스
l
2023.10.03
순간'인 아토초(100경분의 1초) 펄스광을 포착하는 전자동역학적 실험 방법을 고안한 물리
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3일 202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피에르 아고스티니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교수, 페렌츠 크라우스 독일막스플랑크양자광학연구소·뮌헨대 교수( ... ...
[노벨상 2023] "mRNA백신으로 코로나19 사망 줄여"...개발 주역, 생리의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3.10.02
수상자 두명이 반씩 나눠갖는다. 작년보다 100만 크로나 증가했다. 해당 상금은 스웨덴 과
학자
알프레드 노벨이 1896년 사망하며 남긴 유산을 투자한 금액이다. 생리의학상 시상식은 오는 12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다 ... ...
"노벨상 받은 과
학자
, 수상 후 연구 생산성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3.10.02
획기적인 업적을 이룬
학자
에게 상을 수여하고 있고 맥아더상은 1981년 설립돼 과
학자
개인의 잠재력에 투자한다는 의미로 수여를 하고 있다. 노벨상 수상자들이 평균적으로 맥아더상 수상자보다 나이가 많고 경력이 길다. 안드레아 게즈 캘리포니아대 천체물리학과 교수는 노벨상 수상자는 해당 ... ...
[표지로 읽는 과학] 갈수록 더워지는 지구, 인간의 한계는
동아사이언스
l
2023.10.01
이뤄지고 있다. '사이언스' 독일 통신원 카이 쿠퍼슈미트는 미국 조지타운대 전염병
학자
인 콜린 칼슨의 말을 빌어, "지구온난화도 전염병 역시 극적인 변화를 겪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바이러스를 옮기는 모기와 진드기 등이 온난한 환경에서 더 빨리 번식하고 퍼져 훨씬 더 많은 사람의 건강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의 잘못 인정할 줄 알아야 '진짜어른'
2023.09.30
것도 모르냐는 핀잔을 받을 것만 같아 식은땀이 난다. 하지만 캘리포니아 주립대의 심리
학자
알렉스 휴인(Alex Huynh) 등의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은 지적 영역에 있어서도 자신이 항상 옳을 수는 없으며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시인할 줄 아는 사람들을 더 좋아한다. 사람들은 자신이 아는 게 얼마나 ... ...
다윈은 용불용설을 부정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3.09.30
처음이 아니었다. 다윈에 앞서 진화에 관한 이론을 제시한 사람 중 한 명이 프랑스의 생물
학자
장바티스트 라마르크였다. 오늘날 여러 교과서에서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자주 사용하는 기관은 발전하고, 그렇지 않은 기관은 퇴화한다는 가설)을 ‘획득형질의 유전’이라는 이름으로 소개한다.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