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스페셜
"
면역
"(으)로 총 1,900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오미크론 변이는 감기 바이러스의 혼종?
동아사이언스
l
2021.12.10
주요 특성을 바꿀 수 없다고 설명했다.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바이러스
면역
연구센터장)는 "이론상 코로나바이러스가 한 환자의 체내에서 타 코로나바이러스와 섞일 수는 있지만 가능성이 극히 낮다"며 "이 하나만 가지고 오미크론 변이가 감기의 특성을 공유했다고 볼 수 없다"고 ... ...
[일문일답]소아·청소년 정말 꼭 백신 접종을 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12.09
사망 사례의 거의 발생하지 않고 대부분 회복되고 있다. 더불어 바이러스 감염이나 다른
면역
질환에 의한 심근염보다 mRNA 백신에 의한 심근염의 회복 속도가 매우 빠르다." 7일 서울 마포구 종로학원 강북본원에서 직원이 방역패스 관련 안내문을 부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학교 단위의 ... ...
코로나19 바이러스, 인체 지방 공격한다…비만 중증 위험 높은 이유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1.12.09
딥 딕시트 미국 예일대 의과대학 비교의학 및
면역
학 교수는 “바이러스가 인체의
면역
반응을 피하기 위해 지방세포에 숨는 것이라면 우리에게는 아킬레스건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회복된 후에도 몇 주 또는 몇 개월 동안 피로감과 함께 장기간 증상이 ... ...
화이자 "추가접종하면 오미크론 변이 무력화 가능"…"2회보다 항체생성 25배, 예방효과 95%"
동아사이언스
l
2021.12.09
2회 접종자도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중증 예방 효과는 상당 부분 유지된다”고 강조했다.
면역
세포가 오미크론 변이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80% 정도를 인식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바이러스 표면에 존재하는 돌기 형태로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투할 때 쓰인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몹시 힘겨운 일상회복의 길
2021.12.08
백신의 접종 대상에 포함시키지도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소아‧청소년들에게는 집단
면역
을 기대할 수 없다는 뜻이다. 소아·청소년들은 코로나19에서 비교적 안전하다는 기대로 무너지고 있다. 10대의 감염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최근 4주 사이에 10만명 당 감염률이 19세 이상은 76명인데, 18세 ... ...
증상은 경증·감염력 델타변이 2.5배 이상·재감염 위험…추가접종 통해
면역
력 보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2.05
클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HIV 감염으로 후천성
면역
결핍증(에이즈)에 걸린 환자들은
면역
체계가 심하게 손상돼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없어 오랜 기간 감염을 겪으며 새 바이러스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감기 바이러스와 혼종 가능성도 제시된다. 미국 바이오메디컬 정보 분석업체 ... ...
오미크론 변이 유럽 17개국·미국 12개주 확산…"예상대로 지역사회 전파 중"
동아사이언스
l
2021.12.05
오미크론 변이는 50개 이상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변이다. 이중 32개가 감염과 백신
면역
에 연관된 스파이크 단백질에 몰려 있어 기존 변이보다 전파력과 백신 회피 능력이 뛰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달 26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보고된 변이 바이러스인 ... ...
오미크론 변이 첫 임상 연구결과 "재감염 위험 2.4배"
동아사이언스
l
2021.12.04
더욱 빠르고 큰 대유행이 올 수 있다는 뜻이다. 특히 남아공처럼 백신 접종률이 낮고 자연
면역
력에 의존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새로운 유행이 시작될 수 있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극한 공포를 가질 필요는 없다. 배리 슈브 남아공 코로나19백신위원회 의장은 "지금까지 오미크론 변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백신 불평등과 오미크론, 그리고 과학의 희망
2021.12.03
HIV) 치료병원에서 보고됐다. 바로 이 사실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은 이 바이러스가
면역
기능이 결핍된 에이즈 환자의 몸 속에서 폭발적인 진화과정을 거쳐 탄생한 변이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현재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발견되는 변이의 90%를 차지한다고 알려지며, 이 변이가 델타 변이를 ... ...
미국·캐나다 연구팀, 코로나 합성항원 백신 상온 보관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히스티딘을 부착한 합성항원 백신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 플랫폼은 합성항원 백신의
면역
효과를 강화한다. 연구팀은 이 플랫폼을 사용해 리포솜 기반의 합성항원 백신을 만들고, 동결건조 방식으로 상온에서도 오래 보관할 수 있는지 실험했다. 동결건조란 물질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