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싸움
전투
교전
재난
투쟁
사고
다툼
스페셜
"
전쟁
"(으)로 총 493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게임이론의 개척차 ‘로이드 섀플리’
2016.12.13
사병으로 중국전선에서 복무했다. 이때 일본의 기상 암호를 해독해 훈장을 타기도 했다.
전쟁
이 끝나고 복학해 학업을 마친 뒤 미국의 민간연구개발기관으로 두되집단을 상징하는 랜드코퍼레이션에 들어갔다. 여기서 게임이론의 아버지 존 폰 노인만의 눈에 들었고 이듬해 게임이론의 요람인 ... ...
백인 미국인은 한국인을 어떻게 볼까?
2016.11.15
또는 ‘짐승’ 정도로 여기는 행동들이 대표적이다. 다양한 차별뿐 아니라 나아가
전쟁
이나 학살 같은 상황에서도 흔히 나타난다. 예컨대 과거 나치들은 유대인을 ‘해충’에 비유했고 과거 백인들은 흑인들을 ‘유인원’에 빗대었으며, 르완다 학살 때는 투치족을 ‘바퀴벌레’로 비유하는 현상이 ... ...
똑똑한 인간들이 왜 미신에 빠지는 걸까?
2016.11.01
사람들에게 어떤 ‘통제감’을 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날씨나 바다의 상태, 경기,
전쟁
모두 우리의 지식으로 예측할 수도, 또 통제할 수도 없는 것들이다. 통제하길 포기할 수도 있지만 통제감을 잃는 것은 깊은 무기력과 우울을 가져온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생존이 불리해질 수도 있다.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
2016.10.25
폭력성을 갖추게 됐다. 3000~500년 전 사망자 가운데 살인 비율이 15~30%까지 이른 것도 숱한
전쟁
과 독재, 무법천지의 결과다. 그 뒤 국가체계가 정교해지고 법치가 확립되면서 비율이 떨어졌지만 지금도 지구촌 수십 곳에서 분쟁이 벌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현실적으로 보노보의 전략을 택할 수 없는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CSC가 라이선스를 받아 1964년까지 생산했다. 미국 인디애나주 테라호잇의 공장 모습
전쟁
이 끝나고 1920년 발효공정은 CSC라는 회사로 넘어갔고(물론 바이츠만은 로열티를 받았다) 1964년까지 미국과 영국의 여러 공장에서 생산됐다. 그러나 그 뒤 공장들이 하나 둘 문을 닫았고 1983년 남아공의 마지막 ... ...
SF거장 ‘조지 웰스’ 탄생 150주년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6.09.11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현대 로켓공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로버트 고다드는 ‘우주
전쟁
’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아 우주개발에 뛰어들었다. 그는 액체연료 로켓을 개발하고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달 탐사와 아폴로 계획을 이끌었다. 핵무기가 등장하는 소설 ‘해방된 세계’는 실제로 핵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왼쪽부터 남명렬(보어), 이영숙(마그리트), 서상원(하이젠베르크). - 극단 청맥 제공 ●
전쟁
이 갈라놓은 우정 연극은 사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즉 독일 이론물리학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는 1941년 9월 코펜하겐에 있는 보어를 방문했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의 대선배(16세 연상)이자 오랜 ... ...
정신장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7.13
정신장애는 양육의 결과인가? 아주 극단적으로 병적인 양육 환경, 즉 심각한 기아상태나
전쟁
과 같은 트라우마, 지속적인 아동 학대 등의 양육환경은 정신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양육방법의 개성이나 일시적인 가정불화가 정신장애의 원인이 되는 일은 없다. 정신장애를 유발하는 수준의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대우를 한 배경에는 독일 학계에 대한 적개심도 작용했을 것이다. 파스퇴르는 보불
전쟁
패배로 독일에 당한 굴욕을 잊지 않았고 공교롭게도 발효 메커니즘을 두고 독일 과학자들과 첨예하게 맞서왔다. 그런데 메치니코프 역시 면역이론으로 독일과 맞서는 입장이었다. 독일에서의 구직이 성공할 ... ...
‘에이즈 1위’ 국가가 벌이는 ‘에이즈와의
전쟁
’
동아사이언스
l
2016.07.03
표지에는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 치료약이 담겼다. 이 약은 10년 넘게 에이즈와
전쟁
을 벌이고 있는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의 거의 유일하면서도 강력한 ‘무기’다. 남아공은 전 세계 에이즈 감염자의 18%가 몰려있는 ‘에이즈 1위’ 국가다. 남아공의 에이즈 감염자 수는 660만 명으로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