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싸움
전투
교전
재난
투쟁
사고
다툼
스페셜
"
전쟁
"(으)로 총 49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美 트럼프 시대, 길잃은 전세계 공중보건
2025.02.05
파우치'이고 부제가 '빌 게이츠와 거대 제약회사, 민주주의와 공중보건에 대한 지구촌
전쟁
'이다. 한마디로 파우치가 게이츠와 편을 먹고 권력을 남용해 미국뿐 아니라 지구촌 사람들의 건강을 망쳤다며 코로나19와 에이즈 등을 예를 들어 집요하게 주장하는 책이다. 앤서니 파우치는 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개발국 온실가스 배출량 상승세의 의미
2024.11.27
모범 지역인 유럽연합(EU)은 1년 전보다 3.8%나 줄어들 전망이다. 여기에는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 등 경제 부진도 한 요인이다. 반면 인도는 전년 대비 배출량이 무려 4.6%나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지구촌의 배출량이 0.8% 늘어나는 데 절반 가까이 기여하는 셈이다. 나머지 증가분도 아시아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AI가 집어삼킨 노벨상…식어가는 관심
2024.10.23
역사학자나 정치인이 아니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세상에 이렇게 많은 사람이
전쟁
으로 죽는데 상이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다"는 한강 작가의 솔직한 인식을 왜곡할 이유는 없다. 우리가 세계적으로 문학성을 인정받는 문인(文人)을 배출한 것은 우리 모두에게 자랑스러운 일이다. 그렇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美 대선 결과, 미국 과학계에 큰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4.10.20
특파원은 16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쓴 글에서 "차기 미국 대통령 후보들은 이민, 경제,
전쟁
같은 주제에 다른 입장을 표명했지만 과학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며 "그렇다고 이들의 침묵이 선거 승패와 미국 연구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은 '주관적'…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이유
2024.10.12
인한 정신적 충격을 덜 받은 듯 보였다고 한다. 그 이유로 군인들은 통증은 심하지만
전쟁
에서 살아나왔고 이제 집에 갈 수 있다는 사실에서 큰 안도감과 행복을 느꼈다는 점을 지목했다. 반면 민간인들은 평온한 일상을 누리다가 갑자기 부상으로 인해 삶이 망가졌다고 느꼈다고 한다. 부상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셀프 도덕적 판단'의 위험성
2024.10.05
영역이어야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감정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면
전쟁
이나 학살이 일어나는 현장에서도 상대편을 '바퀴벌레' 라고 칭하는 등 비인간화 뿐 아니라 상대를 더럽고 해로운 존재로 프레이밍 하는 (비)도덕화 현상 또한 흔히 관찰할 수 있다. 또한 과거에 노예제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는 쥐에 대해 얼마나 알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22
알려져 있다고 했다. 또 사이언스는 섬에 사는 쥐를 대상으로 펼쳐진 세계적인
전쟁
을 살펴봤다. 전 세계의 46만5000개 섬은 지구 육지의 5.3%에 불과하지만 섬에 사는 생물 종은 포유류, 조류, 양서류, 파충류 등 생물의 약 75%를 차지한다. 그만큼 섬은 고립된 환경으로 인해 섬만의 고유한 생태계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가짜 과학
2024.08.28
후쿠시마 오염수 2차 괴담도 예외가 아니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제2의 태평양
전쟁
'이라고 우겼던 야당은 "오염수가 우리 바다로 돌아오는 것은 4~5년 후의 일이기 때문에 속단할 수 없다"면서 억지를 계속하고 있다. 물론 2011년 원전 사고가 발생한 직후부터 2년 동안 하루 500톤의 오염수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시간 차가 가장 중요하다. 수술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시간차만 유지할 수 있다면
전쟁
터에서도 멀리 떨어진 의사와 연결하여 수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고 손떨림이 있는 의사도 편한 자세에서 로봇의 도움을 받아 수술을 할 수 있게 된다. 원격 수술은 로봇 기술과 무선 네트워킹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한 차오 장 박사는 2013년 한 기고문에서 “라스(Ras)를 길들이지 못하면 암과의
전쟁
에서 이길 수 없다”고 썼다. 흥미롭게도 베무라페닙의 표적인 변이 RAF 단백질은 라스의 신호 전달 경로에 놓인 효소다. 라스 단백질 구조를 밝힌 실험실 출신으로 변이 라스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치료제 개발에는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