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축
확립
건설
건립
설계
부착
편성
뉴스
"
형성
"(으)로 총 4,375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방암 걸리면 뇌졸중 걸리기 쉽다는데, 도대체 왜?
과학동아
l
2014.04.09
알려진 ‘p53 단백질’이 자살하도록 유도하는데, 그 결과 뇌와 신경세포가 제대로
형성
되지 않고 신경세포의 수명 역시 비정상적으로 짧아진 것이다. 정상적으로 발달한 뇌(위)와 BRCA1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뇌(아래). 녹색으로 빛나는 부분이 세포가 '자살'해 사멸한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위성들에 우주를 떠도는 작은 천체들이 부딪쳐 생긴 파편이 커리클로의 주변에 링을
형성
했다는 것. 이번 발견에 대해 같은 날짜 ‘네이처’에 해설을 쓴 미국 코넬대의 조셉 번스 교수는 “이론적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착수한 관측이 발견으로 이어진 경우는 거의 없고, 오히려 이번처럼 예상치 ... ...
제주도 곶자왈에 갔더니 생전 처음 보는 미생물이…
과학동아
l
2014.04.07
타원형, 길거나 짧은 막대 형태를 가진다. - 생명硏 제공 제주도 화산지형에 숲이
형성
돼 생긴 곶자왈에서 처음으로 신종(種) 미생물 ‘베리박터 곶자왈엔시스’(Variibacter gotjawalensis)가 발견됐다. 이 미생물은 이전에 보고된 적 없는 새로운 속(屬)의 생물로, 다른 미생물과 분류학적으로 ... ...
버려진 나무로 전기 충전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4.06
30~40%를 차지하는 주성분으로 나무의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핀 표면에
형성
된 리그닌 나노 구조. - 박호석 경희대 교수 제공 지금까지 나무에서 셀룰로오스를 분리해 다른 물질을 만드는 연구는 많았지만 리그닌을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리그닌=폐기물’이라는 인식이 ... ...
모유 수유, 두 돌까지 하라구요?
과학동아
l
2014.04.03
오히려 성인이 된 뒤에는 비만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면서 "만 2~3세까지는 지질이 뇌
형성
등 아기의 신체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소아과학회지 4월 1일자에 실렸다 ... ...
日 이화학연구소 “STAP 세포 논문 조작됐다”
과학동아
l
2014.04.01
밝힌 2건의 부정 중 하나는 논문 발표 직후부터 논란이 됐던 STAP 세포의 테라토마(종양)
형성
사진이다. 조사위는 이 사진에 대해 “자료의 신뢰성을 근본부터 망친다”며 자료가 조작됐음을 사실상 인정했다. 오보카타 연구주임의 이전 박사학위 논문에 사용된 전혀 다른 내용의 이미지가 이번 ... ...
헉! 한반도에도 대지진이…?
과학동아
l
2014.04.01
홍 교수는 이미 올해 초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서해에 거대한 활성 단층대가
형성
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을 내놓은 바 있다. 지난해 보령 앞바다에서 발생한 지진 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북동·남서 방향으로 지진 단층대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홍 교수는 “댐에 ... ...
진주 운석 궤도·크기 밝혀질까
과학동아
l
2014.03.28
80%가 이 종류다. 운석 거래 웹사이트에서 콘드라이트 운석은 g당 2~5달러 선에서 가격이
형성
돼 있어 10일 발견된 9.4kg의 진주 운석 가격은 2000만~5000만 원으로 추정된다. 가장 희귀하고 고가로 평가되는 운석은 달이나 화성에서 온 운석이다. 소행성이나 혜성 등이 달이나 화성과 충돌했을 때 ... ...
다이어트 음식이 문화재 구원자
과학동아
l
2014.03.26
촘촘하게 붙는 구조가 된다. 그 결과 한천 내부에는 균일한 간격으로 수많은 구멍이
형성
되는데, 그 구멍에 물을 함유하고 있다가 오염물질을 녹인 후 흡수까지 하는 효과를 냈던 것. 연구진은 이렇게 만든 한천을 이용해 밀라노 대성당에 있는 여러 석상 세척에 이용했다. 한천으로 세척한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있었고 이 과정에는 애두신(ADD-1)이라는 단백질이 관여함이 밝혀졌다. 즉 애두신은 기억
형성
에 관여하고 무사시는 망각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셈이다. 실제로 연구자들은 애두신 유전자가 고장나 기억력에 결함이 있는 돌연변이체에 추가로 무사시 유전자에 변이를 일으켰더니 기억력이 정상 ... ...
이전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