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면장력 스파이더맨 납시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있는 판이 있다. 이 면 아래로는 구멍으로 물을 뿜어내는 전자장치와 물이 들어 있는 부
분
이 있다. 전자장치는 ‘전자삼투유동(electro-osmotic flow)’이라는 원리를 이용해 낮은 전압을 가해 구멍으로 물을 내보낸다. 그렇게 되면 이 장치에는 접착력이 생긴다. 또 전압을 방향을 바꾸기만 하면 접착력은 ... ...
탄소 다이어트 집에서 따라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방식에 따라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하지만 두 가정의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났듯 대부
분
생활 속 작은 변화가 탄소 배출 감소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탄소경영팀 서민석 연구원은 “모범 가정과 일반 가정이 사소한 생활습관에서 차이가 생긴다”며 “사소한 습관만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아직 알려지지 않았던 대규모의 화석군을 발견한 것이다. 이 지역에서 발견된 화석을
분
석한 결과 아시아에서 아프리카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진 고생물이 이집트지역을 거쳐 아프리카로 전파된 것도 추론할 수 있었다.모바일시대의 필수 아이템 지도 구글지도는 그 자체로도 훌륭한 콘텐츠이지만 ... ...
복잡한 실험
분
석은 내게 맡겨라 멘토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주목받는 연료전지의 원리를 단계별로 배울 수 있는 키트. 태양광에너지가 물을
분
해해 수소를 얻으면 연료전지 셀이 수소로 전기를 만든다. 모든 과정을 단계별로 실험할 수 있다.엔진모델 만들기NSI 인터네셔널 | 15만원엔진 모형을 조립해보며 엔진의 구조와 원리를 배우는 키트. 실제 엔진과가장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발전함에 따라 더욱 주목받고 있어요. 특히 차세대 성장 동력원이 될 생명의료
분
야에서 다양한 수요가 발생할 것 같아요. 우리의 기술이 그 수요에 부응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연구할 예정입니다." “우리나라 광학 기술 절대 늦지 않았어요” “우리 연구단에서 만든 현미경은 세계 최고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불임이 되는 이유를 설명해주기도 한다. 아난다마이드는 대마초에 들어 있는 각성제 성
분
인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라는 물질과 닮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대마초가 오히려 정자의 운동능력을 키울 수 있지 않을까. 키리초크 박사는 오히려 대마초 흡연자는 불임이 될 확률이 매우 높다고 설명한다. ... ...
π-day 즐기기 3 깊이 들여다보기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3으로 알고 있다면 울퉁불퉁한 통나무를 만들지만, 원주율을 3.141592653까지 알면 10억
분
의 1까지 오차를 줄여 완전하고 세련된 바퀴를 만들 수 있어.접시나 지구본 등 동그란 물체를 만드는 공장에서는 파이값이 중요해. 재료의 양을 결정하고 동그란 모양의 틀을 제작할 때 필요하니까. 자동차의 ... ...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바로 아름답고 소중한 비율이란뜻의 황금비다.선
분
AB를 긴 쪽(AG)과 짧은 쪽(GB) 두 부
분
으로 나눌 때 AB와 AG의 비율과 AG와 GB의 비율을 같게 하는 점은 한 점밖에 없다. 이 지점이 정확하게 황금비를 나타낸다. 우리 몸으로 보았을 때 아름답다고 느끼는 몸매를 가진 팔등신 미인에게도 황금비가 ... ...
태풍에서 기상예보까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그럼에도 모델에서 예측한 값이 사실과 완벽하게 맞을 순 없어요. 관측 자료가 불충
분
하기도 하고, 모델이 모든 기상상태를 다 나타낸다기보다는 가장 중요한 변화를 예측하도록 만든 근삿값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상청은 방정식을 조금씩 변화시킨 여러 가지 모델을 한꺼번에 사용하는 ... ...
수학이라면 지진도 문제 없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교수님이 있어요. 70이 다 되셨지만 지진이 발생하면 항상 가장 먼저 그 지진에 대한
분
석결과를 내놓으세요. 지진연구에 대한 열정이 대단하신거죠. 저도 교수님처럼 지진에 대한 끝없는 열정을 가지고 지진연구를 오래도록 계속하고 싶은 꿈이 있어요. 저처럼 지진에 관심이 있거나 기상에 관심이 ... ...
이전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