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가혹한 환경 극복한 미지의 생존자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수 없는 환경이다. 따라서 심해 생물은 동물과 미생물로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식물과
빛
이 없기 때문에 광합성에 의한 유기물질(탄소를 함유한 생물의 에너지원이 되는 물질) 생성은 전혀 기대할 수 없다.하지만 다른 방법을 통해서 심해에 유기물질이 유입되기도 한다. 하나는 상층부에서 ... ...
13년만에 성큼 다가온 붉은 행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지금 헤르쿨레스자리에서
빛
나고 있다. 거리도 가장 가깝다. 6월에는 한밤중에 하늘 높이
빛
난다. 현재 9등급대의 밝기여서 맨눈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쌍안경을 사용하면 관측이 가능하다. 소행성을 쌍안경으로 보더라도 다른 별들과 똑같다. 그러므로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 소행성과 별을 구별하는 ... ...
3. 터치스크린과 에어백에 숨은 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발광다이오드와 광센서의 일종인 포토다이오드가 사용된다. 즉 발광다이오드에서 나온
빛
이 렌즈로 집속돼 레이저광이 되고 이 레이저광은 바코드에 비춰져 다시 반사된다. 반사된 레이저광은 포토다이오드에서 감지돼 바코드의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자동 수도꼭지수도꼭지가 없고 손만 갖다대면 ... ...
고대 그리스·로마 회화 공작새와 연극 가면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나온다.아마 붓으로 그린 커다란 그림에서 구성을 베껴왔을 것이다. 인물들의 모습은
빛
과 그림자를 적절하게 사용해서 실물감이 두드러져 보이고 자세도 퍽 자연스럽다. 그런데 뒤쪽에 멀리 있는 구경꾼들은 어색해 보인다. 뒤에 있는 건지, 아니면 높은데 올라가서 내려다보는지 정확하지 않다. ... ...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그리며 날아다니는 수컷의 춤을 감상한다. 마음에 드는 수컷이 가까이 오면 종 특유의 불
빛
신호를 보내 자신의 위치를 알린다. 이어 연속적으로 몇번에 걸쳐 서로 바삐 신호를 주고받은 뒤 수컷이 암컷 곁으로 내려앉아 교미를 한다.그런데 미국 동부에 사는 몇몇 종의 반딧불이 암컷은 다른 종의 ... ...
고대문헌 판독에 우주기술 쓰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이용돼왔다. 부라스 박사는 하이테크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에 필터를 끼운 후, 특정한
빛
으로 파피루스의 사진을 찍어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했다. 특히 적외선을 사용할 때 잉크가 가장 밝게 반사돼 제일 좋은 결과를 얻었다.이미 이 신기술은 요르단의 비잔틴교회에서 발견된 종교문헌을 해독하고, ... ...
①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 수색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벽면에서 이 미생물을 지상으로 끌어올려 배양에 성공했다. 각고의 노력 끝에 세상
빛
을 본 이 미생물은 놀랍게도 끓는 물보다 높은 1백13℃의 온도에서 활발히 자랄 수 있다. 뜨거운 온도를 좋아하는 이 미생물은 우리가 화상을 입을 정도의 온도인 90℃에서는 춥게 느낀 나머지 생장을 멈춘다. ... ...
시멘트의 출생장소는 도자기 굽는 가마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발명가의 즐거움은 자신의 발명이 엉뚱한 곳에 사용돼 더욱
빛
을 볼 때이다. 그런 면의 대표적 발명 중에 하나는 아마도 시멘트로 보인다.미국의 시카고나 뉴욕은 고층 빌딩의 숲 ... 철골콘크리트 공법은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좋은 발명은 발명가가 죽어서도 계속
빛
을 발하는 법이다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눈길을 돌려야 하죠. 여기서 문제는 거리입니다. 다행히도 3천4백년쯤 지날 무렵이면
빛
의 속도까지 점령을 하고, 그밖에 여러 과학기술이 발전해서 뭔가 새로운 것이 생겨나지 않겠어요. 타임머신 개념도 등장할 것 같구요. 50년이나 1백년쯤 지난 후에 태어난 사람들은 멋있는 세계와 고달픈 세계를 ... ...
이천 도예마을(陶藝) - 불을 다스리는 노하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원하는
빛
깔을 얻을 수 있었을까. 어떤 노력이 필요했을까. 선조들은 도자기에 원하는
빛
깔을 내기 위해서 많은 실험을 했다. 깨진 자기 조각에 유약을 발라서 가마 속에 넣고 굽는다. 이를 통해 어떤 색이 나오는지를 확인하고 그 뒷면에 바른 유약의 종류를 적어놓았던 것이다.유약성분을 알아본 ... ...
이전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