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천 도예마을(陶藝) - 불을 다스리는 노하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원하는
빛
깔을 얻을 수 있었을까. 어떤 노력이 필요했을까. 선조들은 도자기에 원하는
빛
깔을 내기 위해서 많은 실험을 했다. 깨진 자기 조각에 유약을 발라서 가마 속에 넣고 굽는다. 이를 통해 어떤 색이 나오는지를 확인하고 그 뒷면에 바른 유약의 종류를 적어놓았던 것이다.유약성분을 알아본 ... ...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그리며 날아다니는 수컷의 춤을 감상한다. 마음에 드는 수컷이 가까이 오면 종 특유의 불
빛
신호를 보내 자신의 위치를 알린다. 이어 연속적으로 몇번에 걸쳐 서로 바삐 신호를 주고받은 뒤 수컷이 암컷 곁으로 내려앉아 교미를 한다.그런데 미국 동부에 사는 몇몇 종의 반딧불이 암컷은 다른 종의 ... ...
꿈의 이동통신시대 준비하는 이론공학자 송익호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것은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님을 보여주는 예다. 그러고 보면 그의 이론이 상용화란
빛
을 보기까지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1982년부터 서울대 대학원에서 시작한 새로운 신호검파이론이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수학하던 시절을 거쳐 거의 마무리 단계에 이른 것은 지난 1999년. ... ...
인간 감각 흉내낸 생체모방 센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거리에 따라 두께를 조절해 망막에 정확한 상이 맺히도록 한다. 망막은 눈을 통과한
빛
이 최종적으로 맺는 눈의 가장 뒤쪽 부분인데, 감지된 신호를 시신경을 통해 대뇌로 보낸다.이렇게 복잡한 눈의 구조를 모방한 대표적인 센서가 영상 카메라다. 흔히 볼 수 있는 사진을 찍는 카메라가 여기에 ... ...
근육 움직임 모사해 나노구동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얻어져야 한다. 바로 수십nm 규모가 증가 되는 것이다. 또다른 예로 먼 거리 사이에서
빛
을 중계하는 광중계기나, 망막을 스크린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도 구동장치의 움직임에 마찬가지로 nm 규모의 정확도가 필요하다.지금까지‘마이크로 전기기계 시스템’(MEMS)기술을 이용해 ... ...
봄밤 하늘에서 만난 이도령과 성춘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별이 지고 해가 떠오르기 시작했다. 그러자 세남매는 너무 하늘 높이 올라온 탓에 햇
빛
을 견디지 못하고 그대로 녹아서 하늘에 붙어 버렸다고 한다.아메리카 원주민들은 하늘로 올라간 삼남매가 별이 됐다고 생각했다. 천칭자리를 이루는 여섯개의 별 중, 눈에 띄게 밝은 오른쪽의 세별이 바로 이들 ... ...
별자리 찾기 도시하늘이 더 쉽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왕관자리에서 가장 눈에 잘 띄는 별이다. 2.2등급으로 왕관의 가운데에 박힌 큰 보석처럼
빛
난다.별자리 이야기동·서양에는 문명권마다 옛날부터 내려온 나름대로의 별자리가 있다. 밤하늘에 흩어져 있는 별을 무리지어 지역이나 문화적 특성에 따라 알기 쉬운 이름을 붙였다. 지금 천문학에서 ... ...
대입 면접고사 가이드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말은 맞나요?답 : 예.문 : 왜 그렇지요?답 : 지구와 같이 대기를 가지고 있으면 햇
빛
이 공기를 이루는 분자들에 의해 산란되고, 이로 인해 하늘 전체가 밝게 보입니다. 그런데 달에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태양이 떠있는 상황이라 할지라도 하늘은 시커멓게 보이고 별도 보이는 겁니다.문 : 산란은 ... ...
신의 선물에 만족하지 않은 인공효소 개척자 서정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사실 그의 꿈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인공효소로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탄산가스를
빛
을 이용해 환원시켜 메탄올로 만들고, 산과 들의 풀을 가수분해시켜 포도당으로 만들며, 버려지는 단백질을 분해해 사람에게 유용한 아미노산으로 바꿀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인류의 ... ...
빛
의 마술봉으로 사라지는 그림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즉 컵의 구멍을 손가락으로 막아서 두컵 사이에 공기 층을 만들면 안쪽 컵에서 나오는
빛
이 전반사돼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따라서 안쪽 컵의 그림이 보이지 않는 것이다.그러나 손가락을 떼서 두컵 사이에 물이 들어가면 공기층이 사라져 더이상 전반사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완전한 ... ...
이전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