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질
학자
와 떠나는 온천 탐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문제가 있다. 35℃의 물도 목욕물로서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어차피 데워야 한다. 어떤
학자
는 물을 데우는데 수온 25℃의 물이 가장 적은 열량이 소모되기 때문에 25℃ 기준이 타당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렇듯 기준을 정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한편 우리나라의 온천법상 수질은 ‘인체에 해롭지 ... ...
가치 있는 기업을 꿈꾸는 컴퓨터 의사 안철수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미국의 천재 물리
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다. 둘 다 과
학자
가 쓴 책이다.그런데 대학은 의대로 진학했다. “의사 집안 장남이라 가업을 잇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다른 쪽이 더 재미있었으나 직업이 재미로 하는 것은 아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안 ... ...
1 달 탄생 유력한 시나리오 대충돌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전체(큰 철 핵 포함)의 밀도보다 작고 오히려 지구 맨틀(암석)의 밀도와 비슷한데, 달 과
학자
들은 이 차이를 달이 자그마한 철 핵을 갖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1998년 미항공우주국(NASA)의 루나 프로스펙터가 달의 핵이 전체 질량의 3% 이하를 포함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었다(지구의 핵은 ... ...
③ 홀로그램 동영상으로 영화 감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사진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념이 바로 홀로그래피다. 홀로그래피는 영국 물리
학자
인 데니스 가버가 고안한 일종의 3차원 사진술이다. 사진처럼 물체를 보는 한 방향에서 물체의 단면만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고, 두눈으로 보는 것처럼 보는 방향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는 물체의 3차원 상을 ... ...
인터넷으로 밝혀진 좁은 세상의 구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두 네트워크를 서로 겹쳐보는 방법이 있다면 쉽겠지만 이 방법은 거의 불가능하다.과
학자
들이 생각한 비교 방법은 네트워크의 중요한 특징을 찾아 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이루는 점이 몇개의 선으로 연결돼 있는지를 살펴보는 방법이다. 각 점이 몇개의 선으로 연결되는지를 세어보고 ... ...
유리잔 속 빛의 길과 물의 진동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빛이 우유 입자와 충돌해 흩어지면서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다.이 현상은 영국의 물리
학자
틴들에 의해 처음으로 연구됐다. 그의 이름을 따서 이 현상을 ‘틴들 현상’이라고 한다. 틴들 현상은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 먼지가 자욱한 곳에서 빛줄기가 보이는 것이나 구름 속에서 빛살이 ... ...
새의 날개는 빨리 달리기 위한 것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사이언스’ 1월 17일자에 보도됐다.미국 몬타나주립대의 생태
학자
인 케네스 다이얼은 새의 조상인 공룡이 두 발로 걷다가 경사진 길을 빠르게 오르기 위해 앞날개 깃털을 처음 사용했고, 이것이 진짜 날개로 진화함으로써 지금처럼 날 수 있는 새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 ...
겨울 은하수 속의 진주 M37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마차부자리에 위치한 M37은 이런 산개성단 중에서도 가장 화려한 축에 속한다.오늘날 천문
학자
들의 연구에 따르면 M37은 2천여개의 별들로 이뤄져 있다고 한다. 지구에서 떨어진 거리는 4천5백60광년이고, 나이는 대략 2백만년 가량으로 밝혀졌다.마차부자리의 세 별무리 중 으뜸M37을 만나려면 먼저 ... ...
동양 공룡 VS 서양 공룡 티라노 필적하는 포악한 싸움꾼 양추아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했다. 무게만으로도 울트라사우루스를 훨씬 능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물론 모든
학자
들의 공인을 받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또한 30m 정도의 몸길이를 가졌던 세이스모사우루스(Seismosaurus)는 몸무게가 80t이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때문에 세이스모사우루스도 가장 무거웠던 공룡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반도체를 이용한 유기 발광다이오드는 1987년에 미국의 이스트먼코닥사에 있는 중국인 과
학자
칭 W. 탕에 의해 개발됐다. Alq3로 불리는 저분자 유기물질로 이뤄진 얇은 박막에 전류를 흘려주자 마치 무기 반도체 발광다이오드처럼 밝은 초록빛을 내는 것을 발견하고 특허를 출원했다.유기EL은 스스로 ... ...
이전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