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매우 유용하게 사용됐다. 질량분석기의 원리를 최초로 고안한 사람은 영국의 물리
학자
톰슨이었다. 그는 1912년 물질을 가스상태에서 이온화시키면 표면에 전하를 띠게 되고, 이를 이용하면 분자 크기에 따라 물질을 구분할 수 있다는 원리를 발표했다. 이 때부터 분자량과 전하의 비율에 따라 물질을 ... ...
혈액 한방울로 범인 찾는 방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높지만, 똑같은 혈액형과 똑같은 PGM 특성을 동시에 가질 가능성은 매우 낮다. 지금까지 과
학자
들이 규명해낸 유전적 표지는 모두 12개가 넘는다. 게다가 그것들은 각각 3-10개까지 세부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어떤 두사람이 12가지의 똑같은 표지를 우연히 갖고 있을 가능성은 13억분의 1에 지나지 ... ...
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바꿀 수만 있다면 바로 들을 수 있다. 이 음악을 듣고 싶어 온몸이 근질근질한 천체물리
학자
들이 LIGO 운영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현재는 1년에 한번 정도 예상되는 6억광년 이내의 중성자성 충돌 같은 현상이 LIGO의 주타깃이다. 하지만 누가 아는가. 거대한 블랙홀이 중력붕괴를 통해 급격히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약물개발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연구중이다.단백질 사이의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는 물리
학자
도 관심을 보이며 생물학과는 다른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다. 특히 서울대의 강병남 교수와 KAIST의 정하웅 교수 연구팀은 현재까지 알려진 단백질 네트워크를 통계역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수 없다는 말이다.학술과 응용의 두가지 관심단백질 연구는 이미 수십년 전부터 생화
학자
에 의해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단백질 생화학은 한때 매우 느리고 어려운 일로 여겨져왔다. 단백질은 DNA처럼 대량증폭이 불가능하고 용액 내에서 비교적 불안정해 기능을 쉽게 잃는데다 조직에서 특정 ... ...
5명만 거치면 지구는 한가족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연결선으로 적당히 연결한 것을 의미한다. 그래프 이론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최초의
학자
는 레오나드 오일러(1907-1783)다.1736년에 오일러는 지금은 러시아에 속해 있지만 당시에 독일 영토였던 괴니히스베르크라는 마을에 전해 내려오던 퍼즐을 풀면서 그래프 이론을 생각해냈다. 문제는 ... ...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길을 걸었다.중세로 들어서면서 종교적인 권위를 잃어버린 마법사들은 진리를 추구하는
학자
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그들은 드루이드로부터 물려받은 토속 신앙과 유대교의 신비주의인 ‘카발라’를 융합해 새로운 마법을 탄생시켰다. 이 시대의 가장 유명한 마법사는 아더왕의 전설에 등장하는 ... ...
1. 폭력 난무하는 약육강식의 우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수 있었기 때문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색이동이 거리와 관계없다고 주장하는 천문
학자
들이 있다. 대표적인 인물이 ‘특이은하 목록’을 만들었던 할톤 아프다. 아프는 적색이동이 작은 은하와 적색이동이 큰 퀘이사가 연결된 듯한 영상을 여럿 모았다. 특히 밝은 다리로 연결된 듯한 나선은하 ... ...
요인암살용으로 변신한 무인기 프레데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하늘의 별자리 3월경 초저녁에 머리 위 근처에 나타나는 별자리로 17세기 독일의 천문
학자
J 헤벨리우스가 신설한 것이다삼각근이 섬유화되어 단축되는 병 삼각근구축증(三角筋拘縮症)이라고도 한다주로 팔의 근육주사가 원인이다삼각근은 견관절(肩關節)을 둘러싸며 어깨를 둥그스름하게 형성하는 ... ...
털모자 눌러쓴 에스키모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비슷한 거리만큼 떨어져 나와 있다는 사실이다. 이같은 구조가 생긴 이유는 무엇일까. 과
학자
들은 느리게 움직이는 가스와 빠르게 움직이는 가스가 충돌한 결과라고 생각한다.에스키모성운에서 털모자를 뒤집어쓴 주인공의 얼굴은 복잡하게 생겼다. 실타래를 둥글게 뭉친 모습처럼 보인다. 이런 ... ...
이전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