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언젠가는 우리에게 개인 심부름꾼 드론이 하나씩 생길지도 모르죠.▼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 ...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전 세계에서 지금 이 순간에도 매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널리 알리는 최고의 대한민국 곤충학자들이 많이 등장하길 기대해본다.▼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정서가 형성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을 언프리티랩스타에 적용시켜 보면 래퍼들이 TV
속
에서 마음껏 욕을 하는 것을 보면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강한 심리적 긴장감을 갖게 된다. 다른 사람의 면전에 욕을 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금기시 돼 있기 때문이다. 욕이 끝나고 긴장감이 풀리면 상대적으로 ...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이 모든 걸 침 2mL로 어떻게 알아낸 것일까. 결과에 오류가 있지는 않을까. 제노플랜은 침
속
에 들어있는 DNA를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기기를 이용해 증폭한 뒤 단일염기다형성(SNP)을 읽어냈다. 사람과 사람은 유전자의 99.9%가 동일하고 0.1%만 다르다. 차이는 염기서열 특정 위치에서 나타하나의 형질은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다룬 새 책 ‘인류의 기원’이 인쇄에 들어간 날, 외신들이 일제히 새로운 초기 호모
속
인류 화석 발견을 요란하게 보도했다. 인류학 역사에서도 몇 번 안 되는 큰 발굴이었고, 내용도 충격적이었다(70쪽 기획 참조. 이 발굴 내용은 이후 연구에 따라 차차 재평가될 것이다). 때맞춰 한국을 방문한 ... ...
찰칵~! 동물들의 순간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이기는 것이 아니라 버티는 것이 이기는 경우도 있어요. 바로 인간이 만든 오염된 환경
속
에서라면 말이에요. 동물들은 오염지역을 벗어나 살아남기 위해 도시로 오기도 해요.펠리컨 사진을 찍은 스위스의 안토인 바이스 작가는 도시화가 일어나며 갈 곳이 없어진 동물들의 마음을 사진 한 장으로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위해 꽃을 피우지는 않을까요? 사실 바나나도 꽃을 피워요. 풀이 어느 정도 자라면, 땅
속
의 알줄기로부터 꽃과 열매가 달린 줄기가 자라나요. 비늘 모양인 가짜 줄기에 둘러싸인 채로 풀의 가장 높은 곳까지 자라지요. 풀마다 커다란 빨간색 꽃을 하나씩 가지기 때문에 ‘바나나의 심장’이라고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에디슨은 여러 번의 실패와 오랜 노력 끝에 1879년 쓸 만한 백열전구를 만들었다. 그 뒤에도 연구를 계
속
이어갔다. 발견된 몇 가지 문제점을 보완 ... 컴퓨터의 역사를 다시 쓴 진공관. 빛의
속
도로 발전하는 전기전자분야에서 퇴물이 아닌 역사
속
슈퍼스타로 영원히 기억되길 바라본다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달라진다. 띠의 모양은 띠의 각 지점의 에너지 분포에 따른 결과다.▼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 ...
이전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