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그 결과 좁고 깊은 협곡이 생긴다. 이 곳의 협곡은 칼바리 국립공원의 협곡과는 비교도 안되게 가파르다. 칼바리의 사암층보다 카리지니의 철광층이 훨씬 단단하기 때문이다.서호주의 철광석은 순도가 높기로 세계적으로 유명해서 호주 경제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지금 독자들이 앉아 있는 건물의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5 해저도시인공섬, 미래 도시가 되다!작은 섬을 여러 개를 연결해서 거대하면서도 안전하게 만들 수 있다니! 이런 놀라운 사실은 잘 기억해놨다가 내‘ 꿈의 섬’을 만들 때 꼭 이용해야겠어. 하지만 아직 뭔가 1% 부족해. 섬 아래 빈 공간도 알차게 이용할 수 없을까?인공섬 아래, 호텔과 실험실로 ... ...
- 바다 밑에서 만난 동화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바닷속의 자연환경이 없었다면 표현할 수 없었을 겁니다. 수중 전시회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주변을 떠다니는 물고기들이 작품에 오래된 느낌의 녹청을 더해 더욱 독특한 느낌을 낼 수 있었습니다. 적어도 제 작업에 있어 자연은 예술과 떼려야 뗄 수 없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전염된 환자 집단과 사람에게서 전염된 환자 집단으로 나눠 연구했다. 그 결과, 병원 안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 일어나는 전염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메르스 감염자 대부분은 병원에서 감염됐다.‘코르스’ 막으려면 수학 모형 필요해누리꾼 사이에서 한국형 ... ...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집에 가는 일이 당연했다. 노하우를 전수해 줄 선배들도 없어 막막했다. 게다가 그 동안 교내 동아리 활동이 많지 않았던 학교 분위기 때문에 선생님들의 지원도 충분하지 않은 편이었다.비용도 문제였다. 시중에서 7000원씩 하는 지오데식돔 키트를 활용하게 되면, 가진 예산으로는 80명에게만 기회를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치자. 과연 그들이 인간을 공격할까? 이에 대해 로드니 브룩스는 TED강연에서 “대안을 마련할 시간이 아직은 충분하다”며 “누군가 ‘최고 악당 로봇’을 만들기 전에 ‘그리 나쁘지 않은 로봇’을 먼저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인간을 초월하는 초지능이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역할이 의외로 참 크죠. 하지만 레이저는 여기서 멈추지 않습니다. 1000조분의 1초 동안만 빛나는 세상에서 가장 짧은 섬광 ‘펨토초 레이저’가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열었거든요. 펨토초 레이저는 쏘는 시간이 워낙 짧기 때문에 아무리 강한 빛을 쏴도 그 지점 외에는 따로 손상이 발생하지 ...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지난 5월, 화장품 한류를 이어가기 위해선 ‘바이오 화장품’ 개발에 힘써야 한다는 LG경제연구원의 보고서가 발표됐다. 한국의 기능성 화장 ... 들어갔는지, 이것이 피부노화 완화에 정말 도움이 되는지는 화장품 회사의 양심이다. 이를 믿고 안 믿고는 결국 돈을 지불하는 소비자의 몫이다 ... ...
- 놀이하는 동물, ‘꽃보다 악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따라다니는 자라나 코모도왕도마뱀과 달리, 악어는 이들보다 더 다양한 놀이를 즐길 줄 안다. 2005년에 버가트 교수는 청소년기의 미국앨리게이터(Alligator mississippiensis)들이 마치 수영장에서 미끄럼틀을 타는 것처럼, 물가의 비스듬한 경사면을 타고 내려가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한다는 사실을 학계에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농도를 사용한다. ‘125㎍/㎥’와 같이 표현하는데, 이것은 가로, 세로, 높이가 1m인 공간 안에 미세먼지가 125㎍만큼 있다는 것을 뜻한다. 黃 沙 황 사(누를 황, 모래 사)봄이 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황사는 ‘누를 황(黃)’, ‘모래 사(沙)’라는 이름 그대로 ‘노란모래’다. 봄 하늘을 노랗게 ... ...
이전4224234244254264274284294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