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엑스터시 전쟁 최전선을 가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의해 분리하는 방법이다. 싸인펜으로 쓴 글씨가 물에 번져 분리되는 것처럼 혼합기체가
조금
씩 움직이면서 아주 미세한 성분으로까지 분리된다. 질량분석기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 소변 속의 마약성분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가속시킨 이온이 자기장을 지날 때 변화하는 스펙트럼을 ... ...
위대한 과학자의 실패한 사랑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20세기 최고의 과학자로 불리는 아인슈타인을 규명하는 작업에서 그의 첫번째 아내였던 밀레바 마리치와의 비밀스런 일화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신 ... 모르겠다. 과학자란 도덕적 인간성을 갖춘 성인이 아니라 단지 과학 분야에서 다른 사람 보다
조금
더 정진한 사람일뿐이라고 ... ...
국내 최초 렌티큘러 표지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들어 표지의 경우, 축구선수가 바로 종이면 위에 있다. 이를 기준으로 쪼갠 부분 그림을
조금
씩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그림을 복사해놓는다.이때 왼쪽 눈이 보는 그림을 만들 때는 가까운 사물의 경우 오른쪽으로, 멀리 있는 사물은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런 후 이 그림을 전체로 합성한다. 반대로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물질의 굴절률이 파장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은 빛이 물질 속에서 파장에 따라 속도가
조금
씩 다르다는 의미다. 파장이 길수록(진동수가 작을수록) 굴절률이 작아지고 속도는 느려진다. 프리즘을 통과한 빛의 스펙트럼이 윗부분은 파장이 긴(진동수가 작은) 빨간빛이고 아래쪽은 파장이 짧은 ... ...
맞붙은 그릇 속에 열쇠 숨기기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찬물을 부으면 그릇 속의 공기가 수축하면서 압력이 낮아진다. 물론 그릇 속에는 공기가
조금
남아 있어 완전한 진공은 아니지만, 이 정도만으로도 떼어내기가 힘들다.▶ ▶ ▶ 이 장치를 누가 처음으로 생각해냈을까?이탈리아의 과학자 토리첼리(1608-1647)는 수은주의 실험을 통해 최초로 진공상태를 ... ...
현실 속의 동물 상상 속의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존재하는 동물 1천3백만종 중에서 지금까지 학문적으로 밝혀진 것은 10분의 1을
조금
넘는 1백70만종 가량이다. 인간의 발길이 미치지 않는 장소에 있는 많은 동물들이 아직도 제 이름을 찾지 못한 것이다. 이런 미지의 동물을 연구하는 학문을 신비동물학이라고 한다. 과학문화연구소 이인식 소장이 ... ...
비커 속에 나타난 태양 에너지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핵융합은 태양에서처럼 수소와 같이 가벼운 원소들의 핵이 서로 결합해 헬륨과 같은
조금
무거운 원소의 핵을 형성하는 물리현상. 이때 발생한 질량 결손만큼 엄청난 에너지(E=${mc}^{2}$에 따라 질량 m은 에너지 E로 전환된다)가 방출된다.핵융합에는 일반 수소보다 무거운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주로 ... ...
늘어진 가지에 담긴 애달픈 사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정화조’의 기능도 하기 때문이다.그러나 버들에 꽃이 섞이면 순수하고 애틋한 사랑이
조금
은 육감적이고 퇴폐적인 사랑으로 변한다. 춘향전을 보면, 봄바람에 글공부가 싫어진 이몽룡이 광한루로 나갔다가 마침 그네를 타고 있는 성춘향과 처음으로 만난다. 이몽룡은 “저 건너 화류 중에 ... ...
빛으로 설탕물 농도 측정하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폭이 높이가 켜질수록 넓어진다. 때문에 높이가 낮은 설탕물에서는 위쪽 편광 필름을
조금
만 돌려도 보이는 색깔이 금새 변하지만, 높이가 높은 설탕물에서는 그렇지 않다.농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농도가 진할수록 색의 회전각이 커진다. 이 사실을 이용하면 물질의 ... ...
1 개인별 맞춤약물 제조시대 개막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새로운 원인이 밝혀졌다. 어떤 특정 그룹의 치매환자는 보통 치매환자에 비해 모양이
조금
다른 APP를 가졌다는 사실을 밝혔다. 따라서 이 환자의 APP는 베타 시크리테이즈에 분해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베타 아밀로이드 펩티드도 생성되지 않고, 결국 치매도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하지만 분명 이 ... ...
이전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