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뉴스
"
물질
"(으)로 총 9,620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저2호도 놓친 천왕성 위성 정체 10년 전 자료로 밝혀내
연합뉴스
l
2020.09.15
천왕성 뒤 밤의 위치로 이동할 때 표면의 열을 어떻게 유지하는지 측정했다. 이는 위성의
물질
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위성의 온도를 비롯한 물리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고 한다. 보이저2호가 천왕성에 접근할 때는 행성과 위성의 남극점 부분만 포착해 이런 특성을 밝혀내지 ... ...
이산화탄소로 화장품 쿠션부터 건축 단열재까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공정을 개발하는데도 성공했다. 5원환 탄산염은 탄소와 산소로 이뤄진 오각형 분자구조
물질
로 다양한 화학원료에 쓰인다. 이소시아네트 폴리우레탄은 접착제와 페인트, 3차원(3D) 프린팅 등에 활용가능해 이산화탄소를 활용한 폴리우레탄 원료 개발 영역이 확대되리란 기대다. 이번 연구는 ... ...
헬릭스미스, 유전자치료제·항암신약 자회사 2개 설립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있다. 김선영 헬릭스미스 대표이사는 "회사에는 '엔젠시스'(VM202) 외에도 가치 높은 신약
물질
이 많았으나 시장의 관심이 현저히 적었다"며 "이번 스핀오프를 통해 외부 자금을 유지해 아데노 부속 바이러스와 카티세포 파이프라인 개발에 속도를 내고자 한다"고 말했다. ... ...
[화보+]기도세포 뒤덮은 코로나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후 색을 입혔다. 초록색으로 표시된
물질
은 점액이다. 섬모는 사이사이에 달린 점액과 이
물질
을 섞은 후 기침을 통해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 또한 배출된다. 에르 교수는 “이 사진은 인간 호흡기에서 얼마나 많은 바이러스가 배출되는지를 보여준다”며 “감염됐든 ... ...
인공지능, 의사 도와 의료현장 전면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약물 후보 30종을 찾아낸 뒤 세포실험을 거쳐 지금까지 총 3개의 후보
물질
을 발굴했다. 김태순 신테카바이오 대표는 “코로나19 사태 이후에도 다른 감염병이 출현할 수 있는 상황에서 AI를 이용해 신속히 후보 치료 약물을 찾아내 약물 재창출 신약을 만드는 기술의 가능성을 ... ...
'3상'서 암초 만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임상시험 재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9.13
경증 외에는 많이 나타나지 않았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8일 부작용을 이유로 후보
물질
관련 임상시험을 중단했다. 부작용과 관련된 내용은 정확히 공개되지 않았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한 임상시험 참여자가 척추에 염증이 일어나는 횡단척수염 증상을 보였지만 이번 임상 중단과 관련이 ... ...
달에 사람을 보내기 전 꼭 확인할 10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상상도다. NASA 제공 ‘레골리스(regolith·달 표면의 암석 부스러기와 먼지로 된 퍼석퍼석한
물질
)의 특성을 확인할 것, 레이저반사경을 탑재할 것, 태양풍에 의한 지자기 변화 이미지를 촬영할 것’.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상업 달 탑재체 서비스(CLPS)’에 참여하는 민간 우주 기업 파트너들에게 달 ... ...
셀트리온 "코로나19 항체치료제, 임상 1상에서 안전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국립보건연구원과 함께 개발 중인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임상
물질
이다. 셀트리온 제공 셀트리온은 1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항체 치료제 'CT-P59'의 임상 1상 시험결과 안정성과 내약성, 약동학을 검증했다고 밝혔다. CT-P59는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액에서 가장 높은 바이러스 ... ...
러시아 포함 전세계 과학자 27명 "러시아 백신 불완전하고 비현실적"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러시아 모스크바제1국립의대 연구팀은 가말레야 연구소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
인 ‘스푸트니크 V’의 임상 1,2상 연구 결과를 국제 의학학술지 ‘랜싯’ 4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발표내용에 따르면 항체 및 중화항체 형성이 확인됐고 심각한 독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임상 참여 ... ...
모성애·부성애 유발 단백질 발견한 생명과학자 실리콘밸리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밝혀지지 않은 미스터리로 꼽힌다. 미국 페르미연구소에 검출기를 설치하고 암흑
물질
을 찾는 ‘센세이(SENSEI)’ 실험을 이끄는 루벤 에시그 미국 스토니브룩대 교수 등 4명은 검출 기술 발전에 기여가 공로가 인정됐다. 아메드 알메이리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박사 등 4명은 블랙홀의 양자 ... ...
이전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