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북한 한류’는 쿠로시오 난류의 일부인 ‘동한 난류’와 동해안에서 만나요. 그 결과 따뜻한 물과 차가운 물이 만나며 다양한 물고기가 살아갈 수 있는 좋은 환경이 된답니다. 2년 전, 서울 석촌 호수에 전시됐던 고무오리 ‘러버덕’을 기억하나요? 이 러버덕은 네덜란드의 설치미술가 ... ...
- 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최초로 동물 세포를 냉동시킨 과학자예요. 개구리의 정자에 글리세롤을 넣어서 얼린 결과, 정자의 세포를 망가트리지 않고 냉동시키는 데 성공했답니다. 로버트 에팅거는 사람도 냉동시켰다가 해동하면 다시 살아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이후 1972년, 냉동 보존 서비스 기업인 알코어 ... ...
- [가상인터뷰] 참치 수영 실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민첩하게 수영해야 하기 때문에 이런 특이한 구조로 진화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바닷속을 탐험하는 수중 탐사 장비에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어요 ... ...
- Part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온도를 올려 뇌를 녹인 뒤, 뇌 조직을 납작하게 잘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그 결과 토끼 뇌의 신경회로가 손상되지 않고 제대로 보존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답니다. 얼렸던 정자와 난자를 녹여 체외수정을 하는 연구도 활발해요. 호주의 한 남성은 10대 때 희귀암 진단을 받고, 항암치료 ... ...
- [과학뉴스] 우리나라 연구팀, 국제 로보컵 대회 우승!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AUPAIR)’는 점원, 심부름, 가이드 등 총 8개 임무에서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어요. 그 결과, 본선에 진출한 7개 팀 중 1위를 차지했지요. 특히 행사장을 안내하는 ‘가이드’ 임무에서는 일반 청중을 상대로 대화를 나누고, 흥미로운 설명을 해서 큰 박수를 받기도 했답니다. 장병탁 교수는 “최근 ... ...
- [과학뉴스] 태양의 중심은 표면보다 더 빨리 회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연구팀이 태양 표면에서 발생하는 파동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지요. 질량이 가진 물체가 빠르게 움직이면 ‘중력파’라는 파동이 생겨요. 그래서 태양도 중심핵이 회전하면 그 주변으로 중력파가 퍼져나가지요. 한편 표면에서도 일시적인 폭발 등 여러 요인에 의해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MYM패밀리 팀과 조원들.➌ 1모둠 대원들이 자연물 및 색종이 등 여러 재료를 활용해 캠프 결과물을 만들고 있다.➍ 에코리움 나이트투어에서 어린왕자 나무로 잘 알려진 ‘바오밥나무’의 꽃을 발견했다. 국내에서 바오밥나무가 꽃을 피운 건 최초다. 지사탐만을 위한 에코리움 나이트투어대원들이 ... ...
- [과학뉴스] 개미 탑의 원리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한 층에 놓인 개미 수를 바탕으로 붉은 불개미 한 마리가 받는 무게를 계산했어요. 그 결과, 모든 붉은 불개미에게 똑같은 무게가 실린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탑에서의 위치와 상관없이 붉은 불개미 한 마리는 세 마리의 무게만 견디면 됐지요.연구에 참여한 크레이그 토베이 교수는 “붉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20년, 한국형 발사체를 우주로! 나로우주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감싸고 있는 관이었어요. 이 관에 계속해서 차가운 연료가 흘러들어가게 만든 거예요. 그 결과 연소될 때 아무리 열이 발생해도 연소실 자체의 온도가 3000℃까지 올라가지는 않는답니다.“제가 나로호를 발사시켰어요!”박상준 기자는 버튼을 눌러 발사체에 연료를 공급한 뒤, 나로호를 성공적으로 ... ...
- [가상인터뷰] 둥둥~, 북 치는 앵무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연구팀은 야자잎검은유황앵무새가 연주한 131곡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이 새가 연주하는 곡은 개체마다 자신만의 박자를 갖고 있었지요. 연주할 때마다 곡이 조금씩 달라지긴 했지만, 그 안에는 항상 반복되는 박자가 있었답니다.또 연구팀은 7년간의 추적 조사 결과, 이 새가 다른 개체의 곡을 ... ...
이전4254264274284294304314324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