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됐어요. 또 조종하는 도구도 로봇팔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햅틱 장치로 만들었고요. 그 결과 오션원은 사람처럼 두 손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됐어요. 또 사람이 쓰던 도구를 그대로 쓸 수 있답니다.Q. 로봇공학자를 꿈꾸는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로봇은 여러 과학 분야의 집합체라고 할 수 ... ...
- [과학뉴스] 개미 탑의 원리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한 층에 놓인 개미 수를 바탕으로 붉은 불개미 한 마리가 받는 무게를 계산했어요. 그 결과, 모든 붉은 불개미에게 똑같은 무게가 실린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탑에서의 위치와 상관없이 붉은 불개미 한 마리는 세 마리의 무게만 견디면 됐지요.연구에 참여한 크레이그 토베이 교수는 “붉은 ... ...
- [과학뉴스] 바닷물에 강한 고대 로마의 건축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고대 로마시대의 방파제에서 콘크리트 시료를 채취해 그 구조를 확인했어요. 그 결과, 시료에서 알루미늄이 포함된 ●토버모라이트와 ●필립 사이트 결정을 발견했지요.●토버모라이트 : 석회와 물이 만나 만들어지는 결정.●필립사이트 : 이산화규소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결정.고대 로마인들은 ... ...
- [과학뉴스] 바다거미는 소화관으로 혈액을 순환시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알아보기 위해 12종의 바다거미를 실험실로 데려왔지요. 현미경으로 바다거미를 관찰한 결과, 다리 끝까지 뻗어 있는 소화관이 심장 대신 혈액을 옮긴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소화관은 음식물을 옮기기 위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연동운동을 해요. 바다거미는 이 연동운동을 이용해 몸 곳곳으로 ... ...
- Part 2. 폭염, 강해진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올라가면서 제트기류의 속도가 20년 전에 비해 10~15% 가량 느려진 것으로 나타났어요. 그 결과, 제트기류와 함께 움직이던 공기 덩어리들도 천천히 이동하게 됐답니다. 이렇게 공기 덩어리가 한 자리에 정체된 현상을 ‘블로킹 현상’이라고 불러요.블로킹 현상 때문에 여름철 한반도 위의 공기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20년, 한국형 발사체를 우주로! 나로우주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감싸고 있는 관이었어요. 이 관에 계속해서 차가운 연료가 흘러들어가게 만든 거예요. 그 결과 연소될 때 아무리 열이 발생해도 연소실 자체의 온도가 3000℃까지 올라가지는 않는답니다.“제가 나로호를 발사시켰어요!”박상준 기자는 버튼을 눌러 발사체에 연료를 공급한 뒤, 나로호를 성공적으로 ... ...
- [가상인터뷰] 둥둥~, 북 치는 앵무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연구팀은 야자잎검은유황앵무새가 연주한 131곡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이 새가 연주하는 곡은 개체마다 자신만의 박자를 갖고 있었지요. 연주할 때마다 곡이 조금씩 달라지긴 했지만, 그 안에는 항상 반복되는 박자가 있었답니다.또 연구팀은 7년간의 추적 조사 결과, 이 새가 다른 개체의 곡을 ...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크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웠지요.연구팀은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골판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크기와 모양이 다른 표본들 모두 성체로 다 자란 스테고사우루스인 것으로 나타났지요. 티라노사우루스나 프로토케라톱스처럼 성장 속도에 따라 골판의 면적이 다른 게 아니라는 걸 밝힌 거예요. 또 ... ...
- [과학뉴스] 뜨거운 태양 아래서 식물이 화상을 입지 않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형광색 단백질을 입힌 과산화수소가 어떻게 이동하는지 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그 결과 강한 빛을 받은 지 1시간 가량 지나자 과산화수소가 식물의 세포핵으로 이동하고, 이후 세포핵에서 과산화수소를 이겨낼 수 있는 유전자가 많이 발현됐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즉, 과산화수소의 양이 ... ...
- [과학뉴스] 스스로 물 정화하는 초소형 로봇, 야누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세균의 세포벽과 세포막에 손상을 일으켜 세포 안으로 침투해 세균을 박멸해요.실험 결과, 야누스는 외부의 에너지 공급 없이 스스로 움직이며 15~20분 동안 작동했어요. 이 과정에서 물에 있던 대장균의 80%를 없앴지요. 또 야누스가 수명을 다하면 자석을 이용해 손쉽게 물 밖으로 꺼낼 수 있기 ... ...
이전4264274284294304314324334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