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1. 진화 고속으로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이 유전자의 발현 패턴이 조금씩 달랐다. 유전자의 미묘한 변이가 핀치의 부리 모
양
을 바꿔 자연선택과 도태라는 엄청난 차이를 만드는 것이다.이처럼 유전자가 진화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 증명됐다. 오늘날 인류는 생명과학의 발전으로 유전자를 자유자재로 ... ...
지구온난화로 최근 10년 가장 더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파동의 2중성을 고전적 입장에서 이해하기 위해 1927년에 W 하이젠베르크가 유도한 원리
양
자역학에서는 계의 상태를 가장 세밀하게 규정한 순수상태에서도 물리량을 측정한 결과는 반드시 일정 값을 주지 않고 여러 가지 다른 값이 각기 정해진 확률로 계산된다 1685~1731 영국의 수학자 I 뉴튼의 직접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않고 연료도 무한하지만 1억℃의 높은 온도가 필요해 아직 상용화하지 못하고 있다. 태
양
이 바로 자연에 존재하는 핵융합 발전소다. 만일 핵융합 발전이 성공하면 아인슈타인의 영향력은 아인슈타인의 영향력은 인류가 문명을 마치는 그날까지 계속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구하기 어려울 때 대신 닭고기가 쓰였다고 한다.꿩고기를 닭고기보다 높게 치는 것은 서
양
도 마찬가지다. 19세기 초 대표적인 미식가였던 프랑스의 장 앙텔므 브리야 사바랭은 지금까지도 미식의 경전으로 읽히고 있는 저서 ‘미각의 생리학’(Physiologie du gout, 최근 ‘브리야 사바랭의 미식 ... ...
과학책에 인생을 걸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 소장은 과학출판계 풍토에 대해 쓴 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양
은 늘었지만 깊이 있는 책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카오스이론’ 등 외국책은 한 가지 주제를 전문가의 시각으로 폭넓게 다룬 과학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대중에 영합한 책들이 시장을 ... ...
정신병은 어떻게 치료할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신경전달물질은 감정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우울증에 걸린 사람은 세로토닌의
양
이 줄어든다. 대표적 우울증 치료제인 프로작은 뉴런과 뉴런 사이 연결부위인 시냅스로 분비된 세로토닌이 다시 역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로토닌이 줄어들지 않게 해준다. 이는 심리적, 정신적 상태가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대사, 감각 수용, 뇌와 신경계의 생리, 세포의 분화 · 증식의 제어 메커니즘 등 미크로(
양
자적 · 분자적) 수준에서 거시적 수준까지를 연구대상으로 한다생체 내 여러 현상 및 생체 구성성분의 구조 · 성질 등을 물리화학적 수단으로 연구하는 학문 생물학은 복잡한 생명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 ...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TRON은 2003년 12월 도쿄에서 열린 연례전시회에서 포도주병의 위치와 남은 포도주의
양
을 읽을 수 있는 와인냉장고를 선보인 바 있다.국내 가전 업체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개발한 인터넷 냉장고 역시 ‘똑똑한 냉장고’가 미래 가정의 중심으로 자리잡을 것이라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준다.하나둘 ... ...
새해에는 닭처럼 일찍 일어나 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노른자위는 병아리가 자라는 데 필요한 영
양
분이 되고, 흰자위는 병아리를 보호하면서 영
양
분을 공급해 준답니다. 부지런쟁이 닭아침이 되면 가장 먼저 수탉이‘꼬끼오~’하고 울면서 잠을 깨워 주지요. 수탉은 왜 이렇게 일찍 일어나 아침을 알려 주는 걸까요? 닭의 조상은 동남아시아에 ... ...
'사이언스' 선정 2004년 10大 과학 뉴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지하 깊은 곳의 물에서 DNA를 찾아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일이 활발했다. 북대서
양
사르가소 해에서 1500L의 물을 퍼내 100만 개 이상의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했다. 폐광 지하 1km에서 길어올린 물에서 철화합물을 먹고사는 미생물로부터 새로운 유전자와 효소를 발견한 연구도 있다 ... ...
이전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