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와 골짜기가 만든 동해 가스전과학동아 l2004년 12호
- 생산해 울산 경남지역에 공급할 예정이다. 연간 40만t은 34만 가구가 1년 동안 쓸 수 있는 양으로 한국의 연간 천연가스 소비량의 2.2%다. 이곳에 묻혀 있는 천연가스는 먼저 해상 생산시설에서 1차 정제를 거친 후 해저 송유관을 통해 육지로 수송된다.한국 첫 유전인 동해1 가스전은 해저 유전의 ... ...
- 황우석연구소 설립, 줄기세포 논란 가열과학동아 l2004년 12호
- 논의한 사실을 소개했다. 위원회는 실험방법부터 줄기세포주 분배 문제까지 연구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고, 내년 2월까지 가이드라인을 확정할 예정이다.배아 줄기세포 연구는 이미 시작됐다. 이 연구가 법과 윤리의 테두리 안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우리나라도 엄격한 가이드라인을 ...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과학동아 l2004년 12호
- 별들이 대낮처럼 환한 밤의 불빛 때문에 우리 눈에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낮에는 태양빛에 가려지고, 밤에는 가로등에 가려 우리 눈에서 사라져버린 별의 수는 자그마치 2000여개다. 현재 세계인구의 5분의 1은 은하수를 볼 수 없는 곳에 살고 있으며, 황도 12궁의 별자리마저 온전히 볼 수 없다고 ...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과학동아 l2004년 12호
- 있다. 방향에 따라 ‘왼손잡이’ 전자와 ‘오른손잡이’ 전자로 구분한다.쿼크(quark)양성자와 중성자 등 입자를 이루는 기본입자로 업쿼크와 다운쿼크를 비롯해 참쿼크, 스트레인지쿼크, 톱쿼크, 보텀쿼크 등 모두 6가지가 있다. 홀로 존재하지는 않으며 둘 또는 셋이 모여 중간자나 중입자를 이룬다 ...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과학동아 l2004년 12호
- 정확히 알아낼 수도 있을 것이다.예상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판명된 인간 유전자 수는 ‘양보다는 질’이라는 격언을 되새기게 하며 우리나라에서도 게놈 연구에 큰 발전이 있기를 기대해 본다.진핵생물DNA를 포함한 세포핵이 핵막에 둘러 쌓여 있는 생물. 원핵생물은 핵막이 없어 DNA가 세포 안에 ...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과학동아 l2004년 12호
- 고치는 작업을 수없이 반복했다. 그런 노력 끝에 3년만에 드디어 KHR-2가 탄생한 것. KHR-2는 양쪽으로 팔을 벌리며 체조를 하고, 게처럼 옆으로도 걸으며, 사람과 악수도 한다. 하지만 2000년 선보인 일본의 두 발 로봇 ‘아시모’보다는 아직 걸음걸이가 부드럽지 못하다. 연구팀은 2년 안에 아시모를 ...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과학동아 l2004년 12호
- 나왔을 때만 해도 바늘이 도는 방향이 제각각이었다. 그러다가 1550년 시계가 본격적으로 양산되기 시작했는데 이때 시계방향으로 결정됐다. 일단 방향이 정해진 뒤 모든 제조업자들이 이 방향을 따르게 된 것이다. 이때 만일 반대 방향을 택했더라면 오늘날 시계반대방향이 시계방향으로 불릴 ...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과학동아 l2004년 11호
- 몸길이가 고작 0.2-10mm인 진드기가 사람의 몸에서 피를 빠는 모습은 얼마나 끔찍할까? 우리 몸을 70%나 차지하는 물이 생명 유지 위해 세포 안 ... 이 시스템은 리눅스용으로 만들어졌으며, 기업의 구조 분석이나 생태계 자료까지 매우 다양한 구조를 갖는 데이터베이스에 쓰일 수 있다고 한다 ...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종류의 생물분자가 이용되고 있으며, 생물분자와 특정분자와의 결합을 인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나노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현재 나노바이오센서에 대한 연구는 그야말로 초기 단계로서, 그보다 큰 스케일에서는 경험하지 못했던 흥미로운 현상들이 속속 발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너무나도 ... ...
- 경쟁자 나타나자 '종의 기원' 서둘러 발표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진화론의 창시자로서 권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결국 그는 방대한 양의 집필 계획을 포기하고 13개월 만에 노작을 탈고했다. 이로써 1859년은 ‘종의 기원’을 발표한 해로 영원히 역사에 남게 됐다.다윈의 진화론이 발표된 후 종교계의 반발은 거셌지만 그리 오래가진 못했다. ... ...
이전427428429430431432433434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