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상자
당첨자
수상작품
입상작품
계관 시인
d라이브러리
"
수상자
"(으)로 총 707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리에 가다, 과학에 취하다
과학동아
l
200503
말씀에 “그거 틀렸어요”라고 할 줄 알아야 된대. 물리학자가 꿈인 다훈이는 노벨상
수상자
를 만났다며 좋아했어.파리에서 과학과 관련된 곳을 주로 갔지만 루브르박물관을 빼놓을 수는 없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가 그곳에 있지. 요즘 최고의 화제를 낳고 있는 소설 ‘다빈치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02
박사와 화학상
수상자
인 어윈 로즈 박사 역시 NIH 연구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 그리고
수상자
중 3명은 지금도 NIH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벌이고 있다.NIH에서 최근 한국 과학자들의 인기는 꽤 높다. 한국 과학자만큼 헌신적으로 일하는 외국인 연구자들은 흔치 않기 때문이다. 특히 세계보건기구 ... ...
과학의 꿈은 어릴 때 움튼다
과학동아
l
200501
아인슈타인에 대한 책을 읽은 뒤 그의 뒤를 잇겠다고 다짐한다.외할아버지가 노벨상
수상자
여서 어린 시절부터 어떤 것이든 탐구할 수 있었다는 심리학자 니컬러스 험프리, 아인슈타인을 존경했던 아버지 때문에 물리학자가 되었다는 머리 겔만, 세계적인 문화인류학자 마거릿 미드의 딸인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12
너무나 미미해 정교한 실험으로도 간신히 구분할 수 있을 정도다.1979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인 압두스 살람은 “이 차이는 너무 작아 무시할 수 있을 것 같이 보이지만 오랜 시간을 거쳐 그 효과가 증폭됐을 것”이라며 “그 결과 좀더 불안정한 D형 아미노산 분자의 비율이 점점 줄어들고 L형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12
그 뒤에도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 이 실험에 대해 1979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인 이론 물리학자 압두스 살람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나는 친구에게 왼눈만 가진 거인을 묘사한 고전 작가가 있는지 물어봤다. 그는 외눈박이 거인의 목록을 보여줬지만 이들은 모두 얼굴 한가운데 눈이 놓여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11
밑거름으로 찾아온 기회를 놓치지 않은 결과였다. 이번 수상에 관련된 논문은
수상자
들이 1978-1983년에 발표한 6편으로 집약된다. 2000년까지 유비퀴틴 관련 논문은 5천여편이 발표됐고, 2004년 10월 현재 1만편 이상으로 늘어났다. 올해의 노벨화학상으로 25년 넘게 계속돼온 단백질 분해 연구뿐만 아니라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11
10년 전부터 계룡산 박물관을 설계했을 정도로 그 동안 준비도 철저히 했다.“노벨상
수상자
는 그 나라의 자연사박물관에 비례한다고 하잖아요. 어린이와 청소년이 이곳에 와서 과학에 대한 꿈을 키울 수 있도록 좋은 그릇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국내 자연사박물관 백배 ...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11
1973년 이들이 최초로 강력(strong force)의 점근자유성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해
수상자
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강력의 점근자유성은 무엇이고, 30년전 연구가 이제서야 인정된 이유는 무엇일까.쿼크가 멀어지면 힘은 강해진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모든 물질은 원자로 이뤄져 있다. 원자는 다시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11
본은 독일 정부가 유럽 및 독일의 과학기술 중심도시로 추진 중인 곳이며 4명의 노벨상
수상자
를 배출한 곳이기도 하다. 올해는 기술의 해로 정한 만큼 기계공학과 자동차공학 기술의 산지인 슈투트가르트가 축제지로 선정됐다.기업뿐만 아니라 대학과 연구소도 슈투트가르트를 자동차도시, ... ...
여성이어서 지워지고, 다시 기억되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0410
갈라졌다.불과 몇년 후 왓슨과 크릭, 윌킨스는 생명의 비밀을 밝혀낸 공로로 노벨상
수상자
가 됐지만, 안타깝게도 프랭클린은 자신의 연구업적을 도난당한채 37살의 나이로 짧은 생을 마감했던 것이다.‘ 영원한 비밀은 없다’ 는 말처럼 잊혀질 뻔했던 이 사실은 역설적이게도 왓슨이 그의 연구를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