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상자
당첨자
수상작품
입상작품
계관 시인
d라이브러리
"
수상자
"(으)로 총 707건 검색되었습니다.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11
‘온생명’ 개념을 설정했다. 장 교수는 “프리고진의 생명 이론,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인 어빈 슈뢰딩거의 생명론 등을 비롯해 동서양사상을 바탕으로 창안한 것”이라고 말했다.생태계 문제도 ‘온생명의 건강’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었다. 인간이 자신만 살겠다고 ‘몸’을 해친 결과가 ... ...
세포막의 출입구, 물·이온 통로 밝혀내
과학동아
l
200311
다른 분자는 통과시키지 않고 물분자만을 통과시키는 지를 규명했다(그림).또 한명의
수상자
인 미국 록펠러대 로데릭 맥키넌 교수는 1998년 최초로 이온 채널의 구조를 원자수준에서 밝혀냈다.우리 인체의 다양한 기능은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기관이나 이들의 모임인 기관계에 의해 이뤄진다. ... ...
최초의 나노과학자 돌턴
과학동아
l
200311
주역으로 떠오르는 나노기술의 아버지로도 칭송된다.영국왕립화학회 회장이자 노벨상
수상자
인 해럴드 크로토 박사는 14일 ‘2010, 나노 오디세이’라는 제목으로 이번 행사의 첫 공식 강연을 했다. 크로토 박사는 탄소분자 60개로 구성된 축구공 모양의 분자인 C60(풀러렌)을 발견해 1996년 노벨 ... ...
이런 노벨상도… 2003 '엽기 노벨상' 닭도 미녀를 사랑한다?
과학동아
l
200311
선호한다는 사실을 증명한 것이다. 이들은 이 결과로 학제간 연구상을 수상했다.공동
수상자
가운데 한 명인 마그너스 엔키스트는 “이는 사람과 닭이 비슷한 취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며 “닭이 이성으로 사람을 선택할 리는 없지만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뜻밖”이라고 말했다. 또 “이 ... ...
3 달팽이가 제시한 인간 기억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310
의해 이뤄졌다. 이들은 20세기 신경과학의 발전을 주도했는데, 모두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들이다. 실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보면 신경과학자들이 많으며 대부분 시냅스 연구와 관련돼 있다.21세기에는 지금까지의 환원주의적 접근에 더해 인지 기능에 대한 통합주의적 접근이 어우러져 고도로 ... ...
패턴의 바다에서 솟아나는 직관
과학동아
l
200309
검증된 사고의 하부를 이루는 많은 공통적 기본요소들, 즉 패턴이 있다. 노벨상
수상자
들은 흔히 운이 좋아 우연한 기회로 위대한 발견을 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것은 로또 복권같은 운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그들은 기회가 자신을 스쳐갈 때 창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지적 패턴을 이미 충분히 ... ...
1 태풍잡는 사나이로 변신한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309
드라이아이스로 제어하겠다는 ‘무모한’ 착상이 가능했을까.이는 1940년대 후반 노벨상
수상자
인 화학자 랭뮤어가 “태풍이 아킬레스건을 갖고 있을지 모른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이 있다. 그는 “태풍의 아킬레스건은 바로 열대지방의 뜨겁고 습한 공기에서 태풍을 낳는 에너지 순환”이라면서 ... ...
디지털 세상 최강의 방패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308
된다. 측정을 한다는 사실이 대상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
인 도모나가는 양자를 아주 수줍은 소녀에 비유하기도 한다. 그녀는 쳐다보기만 해도 부끄러워하며 행동이 변하니까 말이다.이렇게 측정 전의 상태가 측정 후와 달라지는 것을‘측정에서 양자상태의 ... ...
열역학의 시인 일리아 프리고진 타계
과학동아
l
200307
977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로, 그리고 16개 국어로 번역된 베스트셀러인 ‘혼돈으로부터의 질서’의 저자로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일리아 프리고진(Ilya Prigogine). 그가 2003년 5월 28일 86세를 일기로 벨기에 브뤼셀에서 운명했다. 그의 삶과 업적을 조명해보자.어린 시절 꿈은 피아니스트프리고진은 1917년 ... ...
인공지능학자 커츠와일 '매트릭스 실현가능성 높다' 예측
과학동아
l
200307
속도에 주목한다. 자가 증식하는 나노독립체가 현재의 기술 발전 속도로는 한 노벨상
수상자
가 언급했듯이 적어도 1백년 후에나 가능하지만, 기술 발전 속도가 가속적으로 증가한다면 사정은 달라진다. 커츠와일의 모델에 따르면 10년마다 기술 발전 속도가 2배로 늘어날 것이라고 한다. 앞으로 2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