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의 미국유학일기] 학생과 기업의 윈윈 취업 박람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등 국제적인 대기업부터 창업 2~3년차의 스타트업까지 다양한 회사를 만날 수 있다.
규모
가 큰 회사는 엔지니어와 리크루터(채용 담당자)가 함께 부스를 운영하고, 작은 회사는 창립 멤버가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캘리포니아공대는 학생 수가 많지 않아 모든 부스를 한 번씩 방문할 수 있다. 참가 ... ...
[시사과학] 하늘을 뒤덮은 사막메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건조한 지역을 견디기 어려운 오리는 비효율적이라는 우려도 나오지요. 그렇다면 대
규모
의 메뚜기 떼는 왜 생겼을까요? FAO는 이 메뚜기 떼의 원인을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소말리아 지역에 쏟아진 폭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어요. 기후변화로 인도양이 따뜻해지며 평년보다 많은 비가 내려 ... ...
[3회] 고수의 데이터 요리쇼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게임에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의 수를 F(n)이라는 함수로 뒀습니다. 그리고 게임에서 대
규모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주기인 6개월(26주)을 기준으로 n주 동안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와 26주 동안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의 비율을 나타내는 함수 Pn을 정의했습니다. 그리고 n에 대한 함수 Pn을 ... ...
[별헤는수학] NASA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2014년에 시작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NASA의 시민과학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규모
가 큰 프로젝트죠. 원반 찾기의 기준은 ‘원’NASA 연구팀은 원시행성계 원반을 찾기 위해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관측할 수 있는 모든 하늘을 촬영하고 있습니다. 원시행성계 원반에서는 빛의 일종인 적외선이 ... ...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이 추세대로라면 21세기 중반에는 북극 해빙이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다. 9월에 최대
규모
를 기록해야 할 남극대륙 주변 해빙도 최근 5년간 급격히 줄어들었다. 영국남극조사단(BAS·British Antarctic Survey)이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서남극 북쪽 웨들해에 있는 해빙이 5년 동안 100만km2가 사라져 기존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3쌍이 번식한다.
규모
가 큰 펭귄 군집은 개체수가 수십만 마리에 이르기도 한다. 이 정도
규모
는 연구자가 현장에서 세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최근 무인기를 띄워 펭귄의 개체수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무인기가 촬영한 영상에서 ... ...
[한페이지 뉴스] 파란 회오리바람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대
규모
화재 현장에서는 불꽃이 회오리바람을 일으키는 현상을 종종 볼 수 있다. 높은 열이 강한 상승기류를 만들어 소용돌이 불꽃이 형성되는 이런 현상을 ‘불꽃 회오리바람(fire whirl)’이라고 부른다. 미국 연구팀이 불꽃 회오리바람에서 파생된 ‘파란 회오리바람(blue whirl)’의 형성 원인을 ... ...
논란 많은 러시아 백신 집중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살펴보면 코로나19 백신은 일반적인 백신보다 부작용 빈도가 높은 편에 속한다”며 “대
규모
로 진행되는 3상 임상시험의 특성상 1상과 2상에서 나타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모든 백신에는 부작용이 따르므로 백신 개발 성공 여부는 부작용이 얼마나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노력하다가 마침내 새로운 우주를 창조하는 이야기입니다. ‘두 번째 유모’는 그보다
규모
는 작지만, 색다른 미래를 보여줍니다. 해왕성의 아이들은 이미 인간이라고 하기에는 어울리지 않을 정도로 달라졌으며, 행성을 관장하는 인공지능은 도무지 인간의 머리로는 이해할 수 없는 존재입니다. ... ...
[스쿨리포트 A+] 과학적 논리 표현하기, 과학탐구 토론대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투표해 평가에서 가산점을 주기도 합니다. ■과학교사의 TIP ❸ 개요서 작성하기대회
규모
나 참가 인원수와 관계없이 과학탐구 토론대회의 첫 단계는 개요서 작성입니다. 개요서에서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서는 자신의 의견을 뒷받침할 근거 자료 중 구체적인 수치가 제공된 표나 그림, 그래프를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