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빨래건조대
캐논
d라이브러리
"
빅
"(으)로 총 50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주로 연구하는 분야는 대수위상의 한 분야인 K 이론이다. 지난 해 K 이론을 따르는 모티
빅
코호몰로지에 관한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대한수학회에서 주는 ‘상산 젊은 수학자상’을 받았다. 이 연구는 최근 필즈상의 추세인 물리학과 수학의 통합과 맞물려 있어 기대를 걸게 한다. K 이론은 ... ...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지난 지금까지도 애플을 상징하는 키워드가 됐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애플이 지금은
빅
브라더의 위치에 올랐다는 점이다. 올해 초 미국 인기 애니메이션 심슨은 1984년 슈퍼볼 광고를 풍자한 에피소드를 내보냈다. 주인공 리사 심슨이 아이팟의 애프터서비스를 받기 위해 용궁 속의 스티브 잡스를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네발 로봇이다. 산악과 습지, 빙판, 계단 같은 험한 지형에서도 거뜬히 움직일 수 있다.
빅
독은 몸체 안에 있는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를 비롯한 각종 센서로 몸의 자세를 파악하고 균형을 잡는다. 차량이 움직일 수 없는 지형에서 정찰과 수송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곤충을 흉내 낸 마이크로 ... ...
새 계획은 왜 항상 작심삼일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한다고 잘난 체하는 오빠가 부탁하는 것은 그 반응이 하늘과 땅 차이일 것이다. 여기에는
빅
뱅을 좋아하는 감정과 오빠에 대한 얄미운 감정이 각각 작용했다. 그래도 이런 감정은 어느 정도 본인이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절이 가능하다. 더 큰 문제는 본인이 느끼지 못하는, 또는 인정하지 않는 ... ...
Part 4. 스키, 하늘을 날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착지한다. 멀리 뛰는 것이 목적인 스키점프와 달리
빅
에어는 다양한 연기가 목적이다.
빅
에어는 아직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진 않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썰매 삼총사와 스키 패밀리썰매 삼총사의 달리기 뼈대있는 스키 가족 멋쟁이 스키 친척 스키, 하늘을 날다 종이접기의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알려지는 듯했다. 하지만 이 전파는 다시 관측되지 않았다. 와우 신호가 발견된 직후
빅
이어 망원경의 다른 장비로 동일한 구역을 훑었지만 아무 것도 나오지 않았다. 미국과 호주에 있는 전파망원경을 통해서도 수색 작업이 이뤄졌지만 흔적을 찾을 수 없긴 마찬가지였다. 미국 세티 연구소의 세스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이 기술이 정착되는 과정에서 논란거리가 될 소지가 높다.만약 이 같은 특징을 두고‘
빅
브라더’시비가 일면 스마트 그리드는 정착되기도 전에 소비자에게 외면당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이미 스마트 그리드는 가전제품 업계의 중요한 테마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최대의 가전회사 월풀은 지난 5월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있다. 미국 육군을 중심으로 전시에 식량과 군수품을 보급할 수 있는 견마형 로봇인 ‘
빅
독’을 제작했으며, 미국 베크나로보틱스 사에서는 전장에서 부상당한 군인을 안전하게 후송할 수 있는 구조용 인간형 로봇 ‘베어’(BEAR)를 개발했다.미국 국방부는 2012년까지 17조 8000억 원을 투입해 로봇을 ...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거리를 전용기를 타지 않고 하이브리드나 전기자동차를 타고 와서 내리는 장면이었다. ‘
빅
3’를 살릴 구제자금을 요청하는 마당에 상·하원 청문회 의원들에게 조금이라도 성의 있는 모습을 보인다는 의도였다.카메라는 회장들의 얼굴을 집중적으로 비췄지만 필자에게는 그들이 타고 온 자동차가 ... ...
요즘 태양은 왜 민얼굴인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6m인 세계 최대 규모의 신형 태양관측망원경(NST)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빅
베어 태양관측소에 설치될 NST로 흑점의 자세한 구조와 흑점 주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폭발현상을 분석할 예정이다.미국 뉴저지공대와 공동으로 개발 중인 ‘한국형 태양전파폭발위치감지기’(K-SRBL)도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